도 농업기술원, 미국선녀벌레 발생량 급증…농작물 피해우려
충남도 내 미국선녀벌레의 밀도가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농업기술원은 최근 농작물에 피해가 우려되는 갈색날개매미충과 미국선녀벌레 등에 대한 시군 발생량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올해의 경우 기주를 같이하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밀도는 낮아진 반면 상대적으로 미국선녀벌레의 밀도가 3배 이상 급증했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5월부터 알에서 부화한 미국선녀벌레의 유충은 눈에 잘 보이지 않다가 7월 중순 이후부터 성충으로 출현하기 시작한다.
당해에는 피해가 적을 수 있지만, 높은 밀도에서 월동할 경우 이듬해 5월 농경지로 대거 유입해 큰 피해를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성충발생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성충방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도 농업기술원 최용석 농업해충팀장은 “농작물에 피해를 덜 주는 성충시기라 하더라도 발생량이 많은 지역의 경우 농경지 주변 인근 야산으로 이동한 성충 방제를 마을단위 공동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청남도, 미국선녀벌레 ‘주의보’…신속히 대처해야
충남도 내 미국선녀벌레의 밀도가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농업기술원은 최근 농작물에 피해가 우려되는 갈색날개매미충과 미국선녀벌레 등에 대한 시군 발생량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올해의 경우 기주를 같이하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밀도는 낮아진 반면 상대적으로 미국선녀벌레의 밀도가 3배 이상 급증했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5월부터 알에서 부화한 미국선녀벌레의 유충은 눈에 잘 보이지 않다가 7월 중순 이후부터 성충으로 출현하기 시작한다.
당해에는 피해가 적을 수 있지만, 높은 밀도에서 월동할 경우 이듬해 5월 농경지로 대거 유입해 큰 피해를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성충발생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성충방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도 농업기술원 최용석 농업해충팀장은 “농작물에 피해를 덜 주는 성충시기라 하더라도 발생량이 많은 지역의 경우 농경지 주변 인근 야산으로 이동한 성충 방제를 마을단위 공동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문화
세계 문화 체험‧놀이 가득한 "종로 가족사랑 어울림한마당"
프레스뉴스 / 25.10.15
사회
음성군, 2026년도 군정 주요업무계획 수립 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15
사회
2025년 하반기 수원시 최우수 적극행정은 ‘모바일 전자고지 통합 플랫폼’
프레스뉴스 / 25.10.15
스포츠
부산시, 오는 17일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개회… 바다·열정·예술이 하나로
프레스뉴스 / 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