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강수량 평년대비 46.8% 증가, 단감나무 병 발생 증가로 이어져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올해 7월 강수량이 평년 대비 46.8% 증가(291.1mm → 427.3mm)하는 반면 일조량은 21.9% 감소(174.7hr → 136.5hr)하는 등 단감나무가 각종 병해로부터 취약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철저한 과원 예찰과 방제를 당부하였다.
단감 탄저병은 6월 이후 기온이 15℃ 이상이고 비가 오면 감염되어 6~10일간 잠복기간이 지난 뒤 발병한다. 올해처럼 강우량이 많고 기온이 높은 경우는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병이기도 하다.
탄저병에 감염된 가지나 과실은 즉시 제거하여 과수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소각하거나 땅에 묻어야 하며, 방제를 위한 적용약제를 과원에 살포해야 한다.
5~6월에 병포자가 성숙하는 둥근무늬낙엽병은 20℃ 전후의 온도에서 비가 오면 병원균 포자가 비산하여 잎과 과실꽃받침에 침투하여 60~120일 정도 오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 8월 말이나 9월 상순부터 발병한다.
발병이 심한 과원은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 또한 빨리 물러져 떨어져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수세가 약한 나무에 많이 발생하므로 토양의 수분과 양분 관리를 합리적으로 하여 수세를 건전하게 유지해야 하며, 병든 낙엽은 철저히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애야 한다.
모무늬낙엽병은 30℃ 전후 온도에서 잘 발생하며 7월경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낙엽 시기까지 지속된다. 둥근무늬낙엽병과 마찬가지로 병든 낙엽을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김태엽 연구사는 “올해 봄철과 7월의 기상조건이 각종 병 발생에 적합한 조건이 형성되어 단감주산지를 중심으로 병해발생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며 단감재배 농가의 면밀한 예찰과 방제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올해 7월 강수량이 평년 대비 46.8% 증가(291.1mm → 427.3mm)하는 반면 일조량은 21.9% 감소(174.7hr → 136.5hr)하는 등 단감나무가 각종 병해로부터 취약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철저한 과원 예찰과 방제를 당부하였다.
단감 탄저병은 6월 이후 기온이 15℃ 이상이고 비가 오면 감염되어 6~10일간 잠복기간이 지난 뒤 발병한다. 올해처럼 강우량이 많고 기온이 높은 경우는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병이기도 하다.
탄저병에 감염된 가지나 과실은 즉시 제거하여 과수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소각하거나 땅에 묻어야 하며, 방제를 위한 적용약제를 과원에 살포해야 한다.
5~6월에 병포자가 성숙하는 둥근무늬낙엽병은 20℃ 전후의 온도에서 비가 오면 병원균 포자가 비산하여 잎과 과실꽃받침에 침투하여 60~120일 정도 오랜 잠복기간이 경과한 후 8월 말이나 9월 상순부터 발병한다.
발병이 심한 과원은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 또한 빨리 물러져 떨어져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수세가 약한 나무에 많이 발생하므로 토양의 수분과 양분 관리를 합리적으로 하여 수세를 건전하게 유지해야 하며, 병든 낙엽은 철저히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애야 한다.
모무늬낙엽병은 30℃ 전후 온도에서 잘 발생하며 7월경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낙엽 시기까지 지속된다. 둥근무늬낙엽병과 마찬가지로 병든 낙엽을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김태엽 연구사는 “올해 봄철과 7월의 기상조건이 각종 병 발생에 적합한 조건이 형성되어 단감주산지를 중심으로 병해발생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며 단감재배 농가의 면밀한 예찰과 방제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문화
세계 문화 체험‧놀이 가득한 "종로 가족사랑 어울림한마당"
프레스뉴스 / 25.10.15
사회
음성군, 2026년도 군정 주요업무계획 수립 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15
사회
2025년 하반기 수원시 최우수 적극행정은 ‘모바일 전자고지 통합 플랫폼’
프레스뉴스 / 25.10.15
스포츠
부산시, 오는 17일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개회… 바다·열정·예술이 하나로
프레스뉴스 / 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