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치유의 이해와 활용 등 치유프로그램 개발 역량 강화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농업·농촌의 치유자원을 활용한 치유프로그램 개발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지속가능한 농업 육성을 위한 현장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21 치유농업대학을 운영한다.
지난 3월 25일,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치유농업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시작하는 치유농업대학은 도 내 치유농업 사업장을 운영하는 농업인과 관심 있는 농업인 등 50명을 대상으로 하며, 오는 9월까지 매주 월요일, 총 22회·103시간에 걸친 장기교육과정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농촌 치유자원 사업화 전략, 치유농업 제도현황 및 콘텐츠 활용 등 치유농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농업인들이 치유농업과 관련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했으며, 현재 운영 중인 치유농업 사업장 현장견학을 방문하고 농업인이 직접 치유 프로그램을 설계해 보는 과정도 포함한다.
교육을 통해 육성된 전문 인력들은 각 지역에서 치유농업을 선도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고희숙 도 농업기술원 농촌자원과장은 “교육을 통해 교육생 각자의 농장에 적합한 치유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능력을 향상하고, 고품질의 치유서비스를 제공하여 어려운 농업·농촌의 고부가가치 창출 및 지역농업 발전에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2017년부터 치유농업 육성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고, 2019년부터는 도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본격적으로 현장 적용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치유농업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치유농업대학은 지난 2020년 처음 개설하여 수료생 23명을 배출했고, 올해로 두 번째 과정을 맞이하였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농업·농촌의 치유자원을 활용한 치유프로그램 개발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지속가능한 농업 육성을 위한 현장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21 치유농업대학을 운영한다.
지난 3월 25일,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치유농업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시작하는 치유농업대학은 도 내 치유농업 사업장을 운영하는 농업인과 관심 있는 농업인 등 50명을 대상으로 하며, 오는 9월까지 매주 월요일, 총 22회·103시간에 걸친 장기교육과정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농촌 치유자원 사업화 전략, 치유농업 제도현황 및 콘텐츠 활용 등 치유농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농업인들이 치유농업과 관련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했으며, 현재 운영 중인 치유농업 사업장 현장견학을 방문하고 농업인이 직접 치유 프로그램을 설계해 보는 과정도 포함한다.
교육을 통해 육성된 전문 인력들은 각 지역에서 치유농업을 선도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고희숙 도 농업기술원 농촌자원과장은 “교육을 통해 교육생 각자의 농장에 적합한 치유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능력을 향상하고, 고품질의 치유서비스를 제공하여 어려운 농업·농촌의 고부가가치 창출 및 지역농업 발전에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2017년부터 치유농업 육성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고, 2019년부터는 도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본격적으로 현장 적용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치유농업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치유농업대학은 지난 2020년 처음 개설하여 수료생 23명을 배출했고, 올해로 두 번째 과정을 맞이하였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흐리고 오전까지 '비'...충청·남부 시간당 2...
강보선 / 25.10.16
경남
세계유산 함안 말이산고분군서 5세기 아라가야-신라 교류 증거 확인
정재학 / 25.10.15
국회
심민섭 장성군의회의장,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성공 개최 기원 챌린지’ 동참
프레스뉴스 / 25.10.15
경제일반
이복원 경제부지사, 충북과학기술혁신원 방문... 과학기술 혁신 현장 점검
프레스뉴스 / 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