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6월 1~20일 수출입 현황 발표
무역수지 26억2000만달러 흑자...대미 수출 4.3% 증가
[프레스뉴스] 류현주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發) '관세 쇼크'로 인한 대미 수출 감소세가 6월 들어 20일 현재 주춤하는 모양새다.
6월 1~20일 대미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지난 4월에는 6.8%, 5월엔 8.1%씩 감소한 바 있다. 이 기간 전체 수출도 반도체 승용차 선박 등 호조에 힘입어 8.3% 증가했다. 일평균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2.2% 늘었다.
23일 관세청에 따르면 1~20일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8.3% 증가한 387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21.8%), 승용차(9.2%), 선박(47.9%) 등이 증가한 가운데 석유제품(-0.5%), 무선통신기기(-33.1%) 등은 감소했다.
미국(4.3%), 유럽연합(23.5%), 대만(46.3%)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중국(-1.0%), 베트남(-4.3%) 등은 줄었다.
수입은 361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3%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19.0%), 기계류(8.8%), 가스(9.3%) 등 수입이 증가한 가운데, 원유(-0.6%), 석유제품(-17.4%) 등은 감소했다.
중국(3.4%), 미국(4.8%), 일본(12.1%) 등에서의 수입은 증가했지만, 유럽연합(-1.5%), 호주(-10.6%) 등은 감소했다.
한편 5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한 572억70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반도체 수출은 역대 5월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미국의 관세 여파로 자동차 등 대미 수출이 줄고, 석유제품·석유화학 수출도 20% 넘게 감소했다. 미국과 더불어 최대 시장인 대중국 수출 부진까지 겹치며 전체 수출 규모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줄었다.
대미 수출은 8.1% 줄어든 100억 달러로, 4월(-6.9%)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관세 부과 및 미국 내 조지아 공장 가동 영향으로 급감한 데다 석유제품 등도 줄었다.
대중 수출도 반도체·석유화학 부진의 영향으로 8.4% 감소한 104억 달러를 기록했다.
5월 수입은 5.3% 줄어든 503억3000만 달러를 기록해 무역수지는 69억4000만 달러 흑자로 15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무역수지 26억2000만달러 흑자...대미 수출 4.3% 증가
![]() |
▲1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사진= 뉴스1) |
6월 1~20일 대미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지난 4월에는 6.8%, 5월엔 8.1%씩 감소한 바 있다. 이 기간 전체 수출도 반도체 승용차 선박 등 호조에 힘입어 8.3% 증가했다. 일평균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2.2% 늘었다.
23일 관세청에 따르면 1~20일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8.3% 증가한 387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21.8%), 승용차(9.2%), 선박(47.9%) 등이 증가한 가운데 석유제품(-0.5%), 무선통신기기(-33.1%) 등은 감소했다.
미국(4.3%), 유럽연합(23.5%), 대만(46.3%)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중국(-1.0%), 베트남(-4.3%) 등은 줄었다.
수입은 361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3%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19.0%), 기계류(8.8%), 가스(9.3%) 등 수입이 증가한 가운데, 원유(-0.6%), 석유제품(-17.4%) 등은 감소했다.
중국(3.4%), 미국(4.8%), 일본(12.1%) 등에서의 수입은 증가했지만, 유럽연합(-1.5%), 호주(-10.6%) 등은 감소했다.
한편 5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한 572억70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반도체 수출은 역대 5월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미국의 관세 여파로 자동차 등 대미 수출이 줄고, 석유제품·석유화학 수출도 20% 넘게 감소했다. 미국과 더불어 최대 시장인 대중국 수출 부진까지 겹치며 전체 수출 규모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줄었다.
대미 수출은 8.1% 줄어든 100억 달러로, 4월(-6.9%)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관세 부과 및 미국 내 조지아 공장 가동 영향으로 급감한 데다 석유제품 등도 줄었다.
대중 수출도 반도체·석유화학 부진의 영향으로 8.4% 감소한 104억 달러를 기록했다.
5월 수입은 5.3% 줄어든 503억3000만 달러를 기록해 무역수지는 69억4000만 달러 흑자로 15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문화
문체부 대표 누리집 복구 완료, 10월 20일부터 정상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중앙정부-지자체, 전국에 있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힘 모은다!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살예방을 위한 서울 동작구 현장간담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외교부,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관련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고용노동부, “현장실습생이 꼭 알아야 할 산업안전수칙, ‘이러닝’을 통해 쉽게 배...
프레스뉴스 / 25.10.21
경남
사천시, 가족의 소중함과 화합을 담은 ‘2025 사천모든가족축제’ 성황리 개최
정재학 / 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