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10월 1~20일 수출입 현황
반도체 20.2, 선박 11.7%↑
[프레스뉴스] 류현주 기자= 10월 1~20일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7.8% 감소했다. 대 미국 수출은 24.7% 줄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發) '관세 쇼크'에도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가던 9월 기준 수출 증가세가 꺾이는 모양새다.
수입도 2.3% 준 가운데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은 9.7% 증가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20일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7.8% 감소한 301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만(58.1%), 홍콩(4.9%), 싱가포르(5.3%)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9.2%), 미국(-24.7%), 베트남(-10.0%)은 감소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20.2%), 석유제품(10.9%), 선박(11.7%) 등이 증가한 가운데 승용차(-25.0%), 무선통신기기(-17.7%)는 줄었다.
그러나 조업일수(10.5일)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은 28억 7000만달러로 전년동기(12.5일)대비 9.7% 증가했다.
수입은 33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3%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원유(12.6%), 반도체(0.8%), 승용차(41.7%) 수입이 증가한 가운데, 가스(-35.0%), 기계류(-2.3%)는 줄었다.
미국(2.3%), 호주(30.7%), 대만(16.2%), 베트남(9.1%) 등에서의 수입은 증가했지만 중국(-11.6%), 유럽연합(-2.3%)은 감소했다.
한편 9월 수출액은 659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다. 2022년 3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월간 수출도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반도체 수출이 메모리 가격 상승효과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22.0% 증가한 166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면 관세 직격탄을 맞은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102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564억달러로 작년보다 8.2% 증가했다. 이에 따라 9월 무역수지는 95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8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반도체 20.2, 선박 11.7%↑
![]() |
▲10월 1~20일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7.8% 감소했다.(사진= 프레스뉴스 DB) |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發) '관세 쇼크'에도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가던 9월 기준 수출 증가세가 꺾이는 모양새다.
수입도 2.3% 준 가운데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은 9.7% 증가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20일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7.8% 감소한 301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만(58.1%), 홍콩(4.9%), 싱가포르(5.3%)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9.2%), 미국(-24.7%), 베트남(-10.0%)은 감소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20.2%), 석유제품(10.9%), 선박(11.7%) 등이 증가한 가운데 승용차(-25.0%), 무선통신기기(-17.7%)는 줄었다.
그러나 조업일수(10.5일)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은 28억 7000만달러로 전년동기(12.5일)대비 9.7% 증가했다.
수입은 33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3%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2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원유(12.6%), 반도체(0.8%), 승용차(41.7%) 수입이 증가한 가운데, 가스(-35.0%), 기계류(-2.3%)는 줄었다.
미국(2.3%), 호주(30.7%), 대만(16.2%), 베트남(9.1%) 등에서의 수입은 증가했지만 중국(-11.6%), 유럽연합(-2.3%)은 감소했다.
한편 9월 수출액은 659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다. 2022년 3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월간 수출도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반도체 수출이 메모리 가격 상승효과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22.0% 증가한 166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면 관세 직격탄을 맞은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102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564억달러로 작년보다 8.2% 증가했다. 이에 따라 9월 무역수지는 95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8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문화
문체부 대표 누리집 복구 완료, 10월 20일부터 정상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중앙정부-지자체, 전국에 있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힘 모은다!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살예방을 위한 서울 동작구 현장간담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외교부,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관련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고용노동부, “현장실습생이 꼭 알아야 할 산업안전수칙, ‘이러닝’을 통해 쉽게 배...
프레스뉴스 / 25.10.21
경남
사천시, 가족의 소중함과 화합을 담은 ‘2025 사천모든가족축제’ 성황리 개최
정재학 / 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