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반딧불이 전문가들 초청
제29회 무주반딧불축제와 함께하는 2025년 반딧불이 국제환경심포지엄이 지난 12일 무주전통생활문화체험관에서 개최됐다.
한국반딧불이 연구회(회장 남상호)가 주관한 이날 행사는 환경지표곤충 반딧불이의 효율적 보존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개회식과 1부 국외 반딧불이 연구 및 보호 활동, 2부 국내 반딧불이 연구 및 보호 활동, 3부 종합 토론, 4부 반딧불이와의 만남(현장 관찰)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황인홍 군수를 비롯한 한국과 일본, 대만, 중국의 반딧불이 전문가는 물론, 환경 관련 단체 회원, 주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대전대학교 문태영 교수를 좌장으로 한 1부 연구 발표에서는 일본 명성대학 이공학부 스즈키 히로부미 교수가 “일본의 반딧불 보호 및 보전 활동”을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대만 센얀생태컨설팅 왕 이지에 대표는 “대만의 반딧불이 서식지 조성과 관리”를, 중국 연태 대학 생명과학대학원 곡강용 교수는 “반딧불이 연구, 보호 및 개발 이용 발전”에 관한 주제를 발표했다.
2부 국내 사례는 강원도 농산물원종장 곤충산업센터 석영식 센터장이 “곤충, 데이터 기반 미래산업”에 관한 내용을, 대전대학교 우다현 박사는 “한국산 반딧불이 연구의 서식지 계량학적 분석”에 관해 연구한 내용을 공유했다.
종합토론 시간에는 대전대학교 남상호 총장(한국반딧불이 연구회 회장)이 좌장으로 단상에 올라 앞서 발표된 주제들에 대한 전문가와 참석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남상호 대전대학교 총장은 “환경지표 곤충이자 천연기념물 반딧불이를 소재로 한 국내 유일의 반딧불축제에서 국내외 석학들이 머리를 맞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이 자리가 무주지역의 반딧불이를 지키고 나아가 반딧불축제와 지구환경을 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저녁 무주군 무주읍 반딧불이 서식지로 이동해 반딧불이 개체수와 활동 등 생태 전반을 살피는 시간도 가졌다.
황인홍 무주군수는 “반딧불이 국제환경심포지엄은 환경지표 곤충 반딧불이를 통해 자연과 인류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깨끗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라며
“한국과 일본, 대만, 중국의 반딧불이 생태와 서식 환경, 복원 사업, 그리고 연구 기술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나아가 무주반딧불축제가 동력이 될 것을 믿는다”라고 밝혔다.
![]() |
▲ 2025 반딧불이 국제환경심포지엄 |
제29회 무주반딧불축제와 함께하는 2025년 반딧불이 국제환경심포지엄이 지난 12일 무주전통생활문화체험관에서 개최됐다.
한국반딧불이 연구회(회장 남상호)가 주관한 이날 행사는 환경지표곤충 반딧불이의 효율적 보존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개회식과 1부 국외 반딧불이 연구 및 보호 활동, 2부 국내 반딧불이 연구 및 보호 활동, 3부 종합 토론, 4부 반딧불이와의 만남(현장 관찰) 순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황인홍 군수를 비롯한 한국과 일본, 대만, 중국의 반딧불이 전문가는 물론, 환경 관련 단체 회원, 주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대전대학교 문태영 교수를 좌장으로 한 1부 연구 발표에서는 일본 명성대학 이공학부 스즈키 히로부미 교수가 “일본의 반딧불 보호 및 보전 활동”을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대만 센얀생태컨설팅 왕 이지에 대표는 “대만의 반딧불이 서식지 조성과 관리”를, 중국 연태 대학 생명과학대학원 곡강용 교수는 “반딧불이 연구, 보호 및 개발 이용 발전”에 관한 주제를 발표했다.
2부 국내 사례는 강원도 농산물원종장 곤충산업센터 석영식 센터장이 “곤충, 데이터 기반 미래산업”에 관한 내용을, 대전대학교 우다현 박사는 “한국산 반딧불이 연구의 서식지 계량학적 분석”에 관해 연구한 내용을 공유했다.
종합토론 시간에는 대전대학교 남상호 총장(한국반딧불이 연구회 회장)이 좌장으로 단상에 올라 앞서 발표된 주제들에 대한 전문가와 참석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남상호 대전대학교 총장은 “환경지표 곤충이자 천연기념물 반딧불이를 소재로 한 국내 유일의 반딧불축제에서 국내외 석학들이 머리를 맞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이 자리가 무주지역의 반딧불이를 지키고 나아가 반딧불축제와 지구환경을 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저녁 무주군 무주읍 반딧불이 서식지로 이동해 반딧불이 개체수와 활동 등 생태 전반을 살피는 시간도 가졌다.
황인홍 무주군수는 “반딧불이 국제환경심포지엄은 환경지표 곤충 반딧불이를 통해 자연과 인류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깨끗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라며
“한국과 일본, 대만, 중국의 반딧불이 생태와 서식 환경, 복원 사업, 그리고 연구 기술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나아가 무주반딧불축제가 동력이 될 것을 믿는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경기남부
안산시, 여성기업 제품 구매상담회 개최… 26개 기관 47개 사 참여
장현준 / 25.09.13
문화
진교훈 강서구청장, “MCT페스티벌 문화와 과학기술의 결합체”
프레스뉴스 / 25.09.12
스포츠
제62회 전북특별자치도민체육대회 고창서 개막, 3일간 열전 돌입
프레스뉴스 / 25.09.12
사회
광주시, 생활밀착형 복합문화공간 ‘고산문화누리센터’ 개관
프레스뉴스 / 25.09.12
국회
군위군의회 김영숙 부의장, 「대구광역시 군위군 아동보호구역 운영 조례안」 제정
프레스뉴스 / 25.09.12
문화
강원 고성군, 북부권 글로벌 플랫폼 조성을 위한 ‘해솔리아 관광단지 조성사업’본격...
프레스뉴스 / 25.09.12
문화
‘커피향 속 행복 가득’ 박강수 마포구청장, 망원커피페스트서 바리스타로 변신
프레스뉴스 / 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