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하나·신한·우리, 여신 中 중기대출 비중↑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은행권이 중소기업 대출 강화에 힘쓰고 있다. 금융당국이 예대율의 산정방식을 개편하는 등 가계부채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지난 10월 기준 중기 대출 잔액은 97조6618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은 지난해에도 중소기업에 89조1000억원을 빌려줬다. 2016년 80조6000억원보다 10.5% 늘었고 대출금액 증가율로 따지면 KEB하나은행(9.9%), 신한은행(9.5%), 우리은행(7.8%) 등을 앞지른 수치다. 이 같은 증가세에 따라 국민은행의 중기 대출 잔액은 올해 안에 1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KEB하나은행도 2020년까지 총 15조원을 스타트업 등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하고 유망 업체에 대한 기술금융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국민에 이어 두 번째로 중기대출이 많은 은행이다. 하나은행은 2016년 66조4470억원이던 중기대출 잔액이 지난해 73조420억원으로 9.9% 늘어났다. 이 기간 하나은행의 전체 원화대출금은 2016년 178조7000억원에서 188조2000억원으로 5.3%(9조5000억원) 증가했으며 가계대출은 4.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신한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역시 1년새 71조8000억원에서 78조6000억원으로 9% 넘게 늘어났다. 담보현황으로 살펴보면 부동산이 54%로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신용 대출도 29%로 늘어나는 추세다. 신한은행은 최근 신용등급과 업종 제한 없이 사업 개시일로부터 1년이 지난 모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동산담보대출을 출시하기도 했다.
우리은행도 여신 포트폴리오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2016년 우리은행 전체 여신 잔액에서 중기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2.7%였지만 지난해 비중은 34.4%로 늘었고 중기대출 상승률도 7.8%에 달했다.
은행들이 기업금융을 강화하고 나선 것은 예대율을 100% 밑으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대율은 은행 등 금융사가 보유한 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이다.
금융위원회는 하반기부터 가계대출액에 적용하는 예대율 가중치를 15% 상향하고 기업대출에는 15% 하향한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시중은행 예대율은 97.8%다. 새 예대율 규제를 도입하면 이 비율은 99.1%에 육박한다.
지난 10월 말부터 적용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2020년 도입되는 새로운 예대율 기준까지 잇따르는 규제 영향도 있다. DSR은 연간 소득에서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즉 대출자가 매년 갚아야 하는 원리금(원금+이자)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DSR이 70%를 넘으면 위험대출, 90%를 넘으면 고(高)위험대출로 규정된다. 시중은행은 앞으로 신규대출취급액 중 DSR 70%를 초과하는 대출 비율을 15% 이내로 관리해야 한다. 시중은행 기준으로 위험대출 규모가 적어도 4~5%포인트를 줄여야 한다는 뜻이다. 또 2021년 말까지 평균 DSR이 40%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주 수익원인 가계대출의 비중을 줄이기 위해 중기대출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며 "중기대출 포트폴리오를 통해 리스크와 대출금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맑고 일교차 커…오전 짙은 안게 주의
강보선 / 25.11.06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음성군·음성농협, 농촌 어르신 위한 ‘농촌 왕진버스’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