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대우조선 민영화 절차 개시

김혜리 / 기사승인 : 2019-01-31 15:50:2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식 현물출자 방식으로 '민간 주인찾기' 돌입
<사진=이슈타임DB>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산업은행이 대우조선의 민영화 절차를 개시하며 `민간 주인찾기`에 돌입한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의 정상화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조선산업 재편을 수반하는 방식의 민영화 절차를 시작했다고 31일 밝혔다.

산은은 지난 2015년 이후 대우조선 정상화 추진 성과로 경영정상화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강도 높은 자구노력으로 지속적인 체질 개선을 이뤄내 유휴 생산 능력 및 고정비를 대폭 감축시켰다.

산은은 "재무구조 및 수익성 개선을 통해 Turn-around 여건을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6년 말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은 5544%에서 2018년 3분기에 222%로 감소했다. 영업이익 2017년 7000억원, 2018년 3분기 누적 7000억원으로 2018년 전체 영업익은 1조원으로 전망된다.

산은 측은 "근본적인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인수·합병을 통한 `민간 주인찾기`가 필수"라며 "대우조선에 대한 유동성 공급, 채무조정, 자구계획 이행 등 채권단 차원의 구조조정은 마무리 단계에 도달했다"고 강조했다.

조선업 비전문가인 산업은행의 관리체제 아래서는 대우조선의 추가적 경영개선에 한계가 있으므로 근본적 정상화를 위해서는 조선업에 정통한 민간주주의 자율·책임경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은은 대우조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조선산업 재편을 통해 현재의 `Big 3` 업체 간 중복 투자 등에 따른 비효율 제거가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선업 `Big 2` 체제 전제 시 `민간 주인찾기` 상대방은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으로 한정된다.

산은은 "우선 현대중공업과 협의를 진행한 결과 대상기업이 산은 보유 주식을 현금으로 매입하는 대신 대우조선 앞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함으로써 동사의 재무구조 개선 및 유동성 확보를 지원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는 현대중공업과의 가격을 포함한 거래 조건 확정 후 삼성중공업의 의사를 추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산업은행은 31일 현대중공업과의 기본합의서 체결에 합의했고, 삼성중공업의 의사 확인 절차를 앞두고 있다.

아울러 이날 진행된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산은은 산은 보유 대우조선 주식 전부를 현대중공업 앞으로 현물 출자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된 기본합의서 체결에 합의했다.

산은 관계자는 "절차 공정성 확보 등을 위해 삼성중공업 측에도 접촉해 인수 의사 확인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삼성중공업 측에서 거래 제안을 할 경우 평가절차에 따라 인수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