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 1년 만에 '최저'

김혜리 / 기사승인 : 2019-01-31 15:13:5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경기 우려에 시장금리 하락 영향
<자료=한국은행 제공>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18년 1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61%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한은이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1.75%로 올렸는데도 불구하고 경기 우려에 장기 시장금리가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예·적금 평균금리는 약 4년 만에 처음으로 2%대로 돌아갔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3.19%)는 한 달 전보다 0.09%포인트 하락했고 집단대출 금리(3.23%)는 0.07%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017년 2월(3.19%), 집단대출은 2017년 9월(3.22%) 이후 각각 최저치다.

한은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올랐지만, 경기 우려 때문에 장기 시장금리가 하락했다"고 말했다.

반면 단기 시장금리와 연동하는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0.08%포인트 상승한 4.64%를 기록했다. 2015년 3월(4.75%) 이후 가장 높았다. 500만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4.63%)와 예·적금 담보대출(3.26%)도 각각 0.07%포인트, 0.01%포인트 상승했다.

기업 대출금리는 3.77%로 0.08%포인트 올랐다. 기업 대출금리는 단기물과 연동해 오름세를 나타냈다. 대기업 대출 금리가 3.50%로 0.08%포인트,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3.98%로 0.11%포인트 올랐다.

가계·기업·공공 및 기타부문 대출을 모두 합한 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 금리는 0.06%포인트 오른 3.72%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2월(3.86%)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달 은행 저축성 수신금리는 2.05%로 0.0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8월부터 오름세를 나타낸 저축성 수신 금리는 2015년 2월(2.04%) 이후 처음으로 2%대로 돌아갔다.

은행권이 예대율(원화 예수금에 대한 원화 대출금의 비율) 규제 속 정기예금 유치 노력을 강화한 영향이란 분석이다. 

은행권 잔액 기준 총대출금리와 총수신금리의 차는 2.31%포인트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정기예금 유치 노력 등으로 0.10%포인트 상승했고, 시장형 금융상품은 전월 수준을 유지해 저축성수신 평균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