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우려에 시장금리 하락 영향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 |
| <자료=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18년 1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61%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한은이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1.75%로 올렸는데도 불구하고 경기 우려에 장기 시장금리가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예·적금 평균금리는 약 4년 만에 처음으로 2%대로 돌아갔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3.19%)는 한 달 전보다 0.09%포인트 하락했고 집단대출 금리(3.23%)는 0.07%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017년 2월(3.19%), 집단대출은 2017년 9월(3.22%) 이후 각각 최저치다.
한은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올랐지만, 경기 우려 때문에 장기 시장금리가 하락했다"고 말했다.
반면 단기 시장금리와 연동하는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0.08%포인트 상승한 4.64%를 기록했다. 2015년 3월(4.75%) 이후 가장 높았다. 500만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4.63%)와 예·적금 담보대출(3.26%)도 각각 0.07%포인트, 0.01%포인트 상승했다.
기업 대출금리는 3.77%로 0.08%포인트 올랐다. 기업 대출금리는 단기물과 연동해 오름세를 나타냈다. 대기업 대출 금리가 3.50%로 0.08%포인트,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3.98%로 0.11%포인트 올랐다.
가계·기업·공공 및 기타부문 대출을 모두 합한 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 금리는 0.06%포인트 오른 3.72%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2월(3.86%)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달 은행 저축성 수신금리는 2.05%로 0.0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8월부터 오름세를 나타낸 저축성 수신 금리는 2015년 2월(2.04%) 이후 처음으로 2%대로 돌아갔다.
은행권이 예대율(원화 예수금에 대한 원화 대출금의 비율) 규제 속 정기예금 유치 노력을 강화한 영향이란 분석이다.
은행권 잔액 기준 총대출금리와 총수신금리의 차는 2.31%포인트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정기예금 유치 노력 등으로 0.10%포인트 상승했고, 시장형 금융상품은 전월 수준을 유지해 저축성수신 평균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맑고 일교차 커…오전 짙은 안게 주의
강보선 / 25.11.06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음성군·음성농협, 농촌 어르신 위한 ‘농촌 왕진버스’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