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에선 특혜 부인…거래재개 의혹까지 수사 넓히나
(이슈타임)김혜리 기자=검찰이 일각에서 한국거래소가 삽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을 돕기 위해 특혜를 제공했다는 의혹에 따라 거래소 압수수색에 나섰다.
![]() |
| <사진=이슈타임DB> |
15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 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서울 한국거래소 사옥에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전날 삼성물산과 삼성SDS 데이터센터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이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의 고의 분식회계 의혹의 연장선으로, 지난 2016년 거래소가 삼바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에 앞서 유가증권 상장요건을 완화해 당시 영업이익을 내지 못하던 삼바의 상장을 도왔다는 의혹에 따른 것이다. 이번 수색 과정에서 삼바 거래재개 과정에서 불거진 의혹까지 들여다볼지 주목된다.
참여연대는 논평에서 "거래소가 상장 규정을 개정해 3년 연속 적자에 시달리는 삼바가 상장했다"며 "거래소에 대한 정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거래소는 2015년 11월 실적이 부진하더라도 미래가치가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이런 의혹에 대해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공개적으로 부인한 바 있다. 최 위원장은 작년 5월 간담회에서 "유망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적자 기업도 상장시키고 하는 것은 우리뿐만 아니라 미국 나스닥과 홍콩이 다 하고 있다. 삼바는 나스닥 상장 요건을 갖추고 있던 것을 우리가 잡았다"며 "상장 규정을 고친 건 내가 보기엔 문제 삼을 여지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증권선물위원회(이하 증선위)는 삼바가 자회사 삼성에피스를 설립하면서 해외 합작투자자와의 핵심 계약사항을 제때 공시하지 않은 점, 상장을 앞두고 2015년 회계처리 방식을 갑자기 바꿔 4조5000억원에 달하는 회계상 이익을 거두게 한 점에 고의성이 있다고 보고 삼바 및 회계법인을 검찰에 고발했다.
증선위가 삼바를 회계처리 위반 혐의로 검찰에 통보하자, 거래소는 지난해 11월 삼바의 거래를 중단하고 상장폐지 여부를 심사했다. 거래소는 기업 계속성, 재무 안정성 측면에서 상장 유지가 타당하다고 보고 20거래일 만에 거래를 재개했다.
당시 업계에서는 거래 재개가 삼바의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당시 참여연대는 논평을 통해 "거래소의 상장유지 결정은 분식회계 결과물인 상장에 대해 섣부른 면죄부를 준 것"이라고 반발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맑고 일교차 커…오전 짙은 안게 주의
강보선 / 25.11.06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음성군·음성농협, 농촌 어르신 위한 ‘농촌 왕진버스’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