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승관 질병청장,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 관리를 위해 환자 다발생 지역인 경북 방문
질병관리청은 경북지역 진드기매개감염병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9월 26일 경북권질병대응센터에서'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 및 대응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는 질병관리청 주재로 경상북도, 경상북도 감염병관리지원단, 경북대학교병원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중앙-지방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현장 대응 역량 등에 대하여 논의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경북지역 진드기매개감염병 환자 발생 현황 및 집중예방관리사업 추진 현황, ▲진드기매개감염병 관리 및 매개체 감시 현황, ▲의료기관 내 SFTS 2차 감염 예방 대책, ▲SFTS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감소를 위한 기관별 역할 및 협조 요청사항 등이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진드기매개감염병은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이며, 최근 3년간 전체 환자의 74.3%가 가을철(9~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경북지역 또한 최근 3년간 전체 환자의 83%가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상북도는 진드기매개감염병 고위험군(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예방 ·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환자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방역 · 소독을 실시하는 등 진드기매개감염병 환자 발생 감소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SFTS 환자 조기인지를 위하여 경상북도 의사회, 의료기관, 동물병원 등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의료인 대상으로 교육 · 홍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의료기관-보건지소-보건소 사이의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모범 사례를 확산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경상북도 진드기매개감염병 집중예방관리사업을 하는 12개 시·군 담당자의 헌신적인 노력에 감사를 전하며, “지방자치단체 · 의료기관 등과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효과적인 진드기매개감염병 대응체계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진드기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발열,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농작업 등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받을 것을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 |
▲ 진드기매개김감염병 예방 홍보 리플릿(대국민용) |
질병관리청은 경북지역 진드기매개감염병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9월 26일 경북권질병대응센터에서'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 및 대응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는 질병관리청 주재로 경상북도, 경상북도 감염병관리지원단, 경북대학교병원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중앙-지방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현장 대응 역량 등에 대하여 논의하기 위하여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경북지역 진드기매개감염병 환자 발생 현황 및 집중예방관리사업 추진 현황, ▲진드기매개감염병 관리 및 매개체 감시 현황, ▲의료기관 내 SFTS 2차 감염 예방 대책, ▲SFTS 환자 및 사망자 발생 감소를 위한 기관별 역할 및 협조 요청사항 등이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진드기매개감염병은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이며, 최근 3년간 전체 환자의 74.3%가 가을철(9~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경북지역 또한 최근 3년간 전체 환자의 83%가 가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상북도는 진드기매개감염병 고위험군(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예방 ·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환자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방역 · 소독을 실시하는 등 진드기매개감염병 환자 발생 감소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SFTS 환자 조기인지를 위하여 경상북도 의사회, 의료기관, 동물병원 등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의료인 대상으로 교육 · 홍보를 실시하고 있으며, 의료기관-보건지소-보건소 사이의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모범 사례를 확산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경상북도 진드기매개감염병 집중예방관리사업을 하는 12개 시·군 담당자의 헌신적인 노력에 감사를 전하며, “지방자치단체 · 의료기관 등과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효과적인 진드기매개감염병 대응체계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진드기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발열,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농작업 등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받을 것을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충북
2025년 옥천군 문화진흥기금 지원사업 문화 소외계층 위한 다채로운 공연 개최
류현주 / 25.09.26
사회
영양군, ‘제5회 경상북도 어르신 주산 경기대회’서 값진 성과
프레스뉴스 / 25.09.26
스포츠
국방부, '전우와 함께 국민과 함께 달린다. 제21회 국방일보 전우마라톤 ...
프레스뉴스 / 25.09.26
사회
대구 중구가족센터, 다문화가족과 함께하는 추석 음식 나눔 행사 개최
프레스뉴스 / 25.09.26
사회
대구시교육청,‘전국장애학생 e페스티벌 대회’에서 전국 최다 최우수상 수상!
프레스뉴스 / 25.09.26
연예
'화려한 날들' 정일우, 변장까지 하고 미행 나선다... 질투와 호...
프레스뉴스 / 25.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