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대출 늘리는 은행권…신한은행 '최대'

김혜리 / 기사승인 : 2018-12-26 10:30:3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리스크 관리 필요성 있으나 우려할만한 상황 아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시중은행이 가계대출보다 중소기업대출을 늘려 대출자산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점유율은 2015년 68.2%에서 올해 6월 말 기준으로는 65.5%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 대출 점유율은 46.6%에서 48.0%로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4대 은행의 대기업대출 점유율은 2015년 말 42.4%에서 지난 6월 말 38.1%까지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에 집중하던 모습에서 중소기업 대출로 방향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조선·해운 등 부실기업 퇴출 영향으로 대기업 대출도 지속적으로 줄였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산성장 측면에서 가계대출의 경우 규제 강화로 발목이 잡혀 중소기업대출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이 오는 2020년부터 예대율 산정 시 가계대출 가중치를 높이고 기업대출 가중치를 낮추기로 하면서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업대출을 줄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들의 자금 지원 확대 기조를 이어나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출 시 특례가 적용되는 중소기업 범위를 연 매출 600억원에서 700억원으로 확대하고 매출액이 아닌 총자산 기준으로도 간주할 수 있도록 했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이 대기업 대출을 대폭 줄이면서 중소기업 대출을 늘리는 등 가계대출보다는 기업 대출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한은행의 대기업대출 점유율은 2014년에서 올해 6월까지 1.4%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 대출에서는 하나은행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국민은행, 하나은행 역시 중소기업 대출 점유율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하지만 내년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이자부담이 높아져 대출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만큼 은행들의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산업은행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소기업대출 확대 후 4분기(1년) 뒤에 부실채권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체율이 조금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우려할만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정부 역시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만큼 지원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