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적 노력으로 채권시장 규모·유동성 확대 제언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안전망 확충을 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의 협력을 제시했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이슈타임DB> |
이 총재는 19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BOK-BIS 공동콘퍼런스 개회식에서 "아태지역 채권시장 발달은 금융시장 발전과 정책운용에 있어 많은 긍정적 기여와 함께 적지 않은 부담을 동시에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아태지역 국가들이 금융·경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제언했다.
이 총재는 아태지역 채권시장 발달을 크게 두 가지 면에서 긍정적으로 봤다. 채권시장 발달이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 운영체계가 원활히 정착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으며 외국인 채권투자가 크게 늘면서 단기 은행차입과 주식투자에 의존하던 외자 유입 경로가 다양화됐다는 평가다.
이 총재는 "외국인 채권자금의 상당 부분이 달러화 표시 채권이 아닌 발행국가 통화표시 채권에 투자되고 있는 데다 장기투자 성향도 높기 때문에 유입되는 외자의 안정성도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지속, 미·중 무역분쟁 심화 등 글로벌 여건의 급격한 변화로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들에서 상당한 규모의 자본이 유출되면서 주가 및 환율은 물론 금리까지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외 충격으로 인한 자본유출입 확대가 시스템 리스크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하겠다"며 "이를 위해 경상수지 개선, 외환보유액 확충, 환율 유연성 확대 등을 통해 대외리스크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아태지역 국가들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아시아 채권시장 이니셔티브(ABMI), 아시아 채권기금(ABF) 등을 통해 역내 금융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아시아 역내 차원뿐 아니라 IMF·BIS 등 국제기구와 글로벌 금융안정망 구축을 위한 협력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맑고 일교차 커…오전 짙은 안게 주의
강보선 / 25.11.06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