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특질보다 사회화 교육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관리부실견'이라 명칭 해야된다.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
지난 24일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는 정부의 맹견 지정 확대 정책에 대해 반대 논평을 발표했다.
카라 측은 "개물림 사고가 잇따르며 사람을 공격한 개를 안락사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재발 방지의 목적보다 응징의 성격이 크다"며 "이른바 '맹견에 대한 두려움이 불특정 개들에 대한 공포로 확산되고 있는 건 더욱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맹견'이라고 명명되는 개들은 보호자가 제대로 돌보지 못한 결과로 '관리부실견'으로 명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는 크기나 품종에 상관없이 잠재적 공격성이 있다"며 "개가 선천적으로 어떤 특질을 지니느냐 보다는 '개를 어떻게 기르고 관리하느냐'가 개의 공격성 발현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보호자가 개의 사회화에 힘써야 하지만 개물림 사고 등 목줄 미착용 등 보호자 통제를 벗어나 상황에서 다수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카라는 올바른 반려문화 정착은 물론 쉽게 반려동물을 입양할 수 없게하고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을 키울 준비를 선행해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남
강민국 국민의힘 경남도당 위원장 “경남에서 개혁과 혁신 시작”
정재학 / 25.09.09
충북
"청주의 발전, 충북의 미래" 이장섭 전 의원, 청주시장 출마 ...
장현준 / 25.09.09
정치일반
이재명 대통령 "불합리한 유통구조 개혁 속도…장바구니 물가 불안 반드시 ...
프레스뉴스 / 25.09.09
사회
해양수산부, 대형 방제선 엔담호, 강릉 가뭄 긴급 지원 나선다
프레스뉴스 / 2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