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으로 반려견 기분 읽을 수 있습니까?"

김담희 / 기사승인 : 2017-02-09 10:12:0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개 길러본 경험 있을수록 몸짓에 대한 이해력 높아
개를 키우는 사람일수록 개의 표정을 사람 표정처럼 해석한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졌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이슈타임)김미은 기자=반려인이 키우는 강아지의 표정을 사람 표정처럼 받아들여 기분을 이해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헬싱키 대학교와 알토 대학교 연구진은 34명을 대상으로 개와 사람의 3가지 표정 사진을 보여주고 기본 감정 6가지 중 하나로 분류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사진은 웃는 표정, 무표정, 위협적인 표정 등 3가지를 담았고 기본 감정은 행복, 슬픔, 놀라움, 혐오, 공포, 화 등이었다.

연구진은 개에 대한 이해심이 높은 사람일 수록 개의 표정을 더 강렬하고 빠르게 받아들이고 사람 표정과 비슷한 방식으로 개의 표정을 이해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위협적인 표정은 사람보다 개의 것을 더 강하게 받아들였지만 행복한 표정에서는 개보다 사람의 표정을 더 강하게 인식했다.

또 개를 길러본 경험이 있는 사람일 경우 개의 표정뿐만 아니라 몸짓까지 이해력이 높아졌다. 개 조련사의 경우 개의 행복한 표정을 더 쉽게 인지했다.

연구진은 실험 대상의 성격, 공감도, 개를 키운 경험 등을 결과에 반영했다.

헬싱키 대학교의 미아마리아 쿠얄라 박사는 아마도 얼굴이 인간에게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자극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며 빠르게 공감하면 개의 표정에 대한 판단이 강화되지만 그 판단의 정확성은 현재로선 신뢰할 수 없다 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