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남공격 시작점 2km 밖 후퇴 효과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우리 군 당국이 지난 12일 진행한 남북 간 감시초소(GP) 파괴 상호 검증한 결과, 북측 GP 지하시설이 완전 매몰된 것으로 확인됐다.
![]() |
| <사진=SBS뉴스 갈무리> |
13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남북 간 9·19 군사합의에 따라 파괴된 북한 10개 GP 지하의 `공격출발계선`이 붕괴됐다. 이번 GP 철수로 북한의 일부 `공격출발계선`이 군사분계선(MDL) 2km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 GP 불능화 상태를 살펴본 결과 북한군이 10개 GP에서 폭약을 터뜨리는 방식으로 GP를 파괴했다"며 "GP 지하 갱도 시설도 폭발로 인해 모두 매몰된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공격출발계선은 북한군 기습 남하 시 병력이 집결할 수 있도록 GP 지하 갱도에 설정한 선이다. 통상 지하 갱도에서 지상으로 나오는 화구(火口)가 있는 지점을 북한군이 공격출발계선이라고 지칭하며, 우리 군은 이를 북한군의 공격대기지점이라고 부른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공격출발계선이 실제 매몰됐다면, 북한 지상군의 기습 남하 위협이 낮아지는 성과를 거둔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북한군은 DMZ 곳곳에 은폐된 매복지를 설정해놓고 있어 이에 대한 남북 간 협의도 언젠가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북측은 이번 GP 파괴 검증 과정에서 남측 GP 잔해물이 철거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고 한다. 북측 GP 잔해물이 비교적 깨끗이 정리된 것과 달리 남측 GP 잔해물은 남아있는 데 대해 불만을 제기한 것이다. 이에 대해 현장의 우리 군은 내년도 예산에 잔해물 철거 비용이 잡혀 있다고 북측에 양해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올해 예산에 GP철수 잔해물 처리비용이 반영이 안 됐기 때문에 하지 못했다"며 "우리 측은 내년도 예산으로 잔해물들을 치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남북, GP 상호 현장검증 한창…北 지하시설까지 확인2018.12.12
- 北 GP 지하시설 파괴…공격출발계선 붕괴2018.12.13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월요일 출근길 기온 '뚝'...초겨울 추위
강보선 / 25.10.27

문화
화성특례시, 제11회 남양성모성지 평화음악회 성황리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6

문화
서울특별시 중구 첫 '이순신 축제' 2만명 운집, 발 디딜틈 없이...
프레스뉴스 / 25.10.26

국회
대전시의회 조원휘 의장 “대전의 역사와 예술, 춤으로 되살아나”
프레스뉴스 / 25.10.26

경제일반
전북도, 김제 벼·논콩 피해 현장 방문… 신속한 복구 대책 추진
프레스뉴스 / 25.10.26

스포츠
‘스포츠로 화합하는 화성특례시’...2025년 한마음 체육대회 성료
프레스뉴스 / 25.10.26

경제일반
서울시, 정부에 소상공인 창·폐업 부담 주는 6가지 규제 개선 건의
프레스뉴스 / 25.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