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타임)윤선영 인턴기자=올해 상반기에 출시된 북한의 스마트폰 '진달래3'은 아이폰6와 비슷한 외형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기능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는 '진달래3'에는 전자 주판, 화상 자료와 같은 스마트폰용 프로그램(앱)이 설치되긴 했지만 인터넷 기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28일 보도했다.
이에 대해 김연호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인터넷을 통제하고 있는 북한 당국 입장에서는 3세대 손전화 통신 서비스만으로도 북한 주민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기능을 추가시킬 동기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북한의 스마트폰은 외부와의 통신보다는 주로 스마트폰이 아니라도 가능한 음성통화나 문자 메시지 정도이고, 나머지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게임·전자사전 등에 치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의 대외선전용 웹사이트 '조선의오늘'은 지난달 29일 "최근 공화국의 만경대정보기술사에서는 첨단기술 제품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국산화하여 세계를 앞서나갈 데 대한 당의 의도를 높이 받들고 지능형손전화기(스마트폰) 개발의 모든 요소를 우리 식으로 손색없이 해결하였다"고 보도한 바 있다.
특히'RFA는 '진달래3'은 북한이 지난 2013년 자체 제작했다는 '아리랑'과 '평양터치'식 스마트폰보다 한 단계 발전된 제품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북한에는 휴대전화 가입자가 300만 명을 넘어섰고 '진달래3'은 '아리랑'과 '평양터치'식 스마트폰의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윤선영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출근길 최저 0도 '쌀쌀'...낮부터 평년기온 회복
강보선 / 25.10.29

광주/전남
진도군,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수상...대한민국범죄예방대상
신상균 / 25.10.28

경기남부
최대호 안양시장, 지역난방 열수송관 파열사고 현장 방문…“신속 복구”
장현준 / 25.10.28

경제일반
새만금개발청, 신항만 크루즈 관광산업 기본구상 수립 최종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8

문화
부산 북구, 2025년 찾아가는 치유농업 공개강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