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칼럼] 최인영 수의사의 반려견 행동교정 (21)…"반려견 놀이 왜 중요할까?"

김담희 / 기사승인 : 2017-04-26 13:36:5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사람과 놀이 많이 한 개가 환경에 대한 두려움을 덜 갖는다는 연구 결과 있어
개에게 놀이는 문제해결 능력과 상호 의사소통 방법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물에게 놀이는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에게 놀이는 행동 발달과 신경의 상호협조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놀이는 문제 해결능력과 관련된 운동과 인지능력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놀이 중 실수를 통해 성공하는 방법을 동물이 익히도록 해준다.

아울러 광범위한 기본 의사소통 기술을 배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사람과 함께 놀이 활동을 더 많이 한 개는 새로운 환경에 두려움을 덜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이런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두 마리의 개를 자유롭게 놀게 하면서 관찰했을 때 성별은 놀이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나이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어린 개보다 나이든 개가 더 거칠게 노는 것을 알 수 있다.

놀이에 좀 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진 성견과 새끼강아지가 함께 놀 경우 놀이 신호를 통해 서로의 활동을 조절한다. 놀이과정에서 어린 개가 명확한 의사로 놀이 신호를 보내면 성견은 강아지의 신호를 보고 놀이 행동 과정을 부드럽게 바꿔 함께 논다.

사람과 놀 때와 개들끼리 놀 때는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방식이 다르다. 개들이 사람과 놀 때는 상호 활동을 더 하고 싶어 하고, 장난감은 덜 가지고 놀려고 한다.

사람은 놀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목소리와 촉감 그리고 시각 및 자세 신호를 이용해 개와 논다. 만약 개가 하는 놀이 인사처럼 사람이 달려들기나 인사 행동을 한다면 개들은 시간과 횟수를 늘려서 더 적극적으로 달려들면서 놀려고 할 것이다.

사람이 놀이에 소리 신호를 추가하면 개들은 더욱 좋아한다. 사람이 개와 효과적으로 놀아주면 사람과 개의 관계가 향상되고 행동학적 문제가 덜 발생한다. 또한 사람들은 자기 개가 영리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놀이 신호는 사람과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개가 어떻게 해석할지에 대해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사람들 앞에서 애견 콘테스트를 할 때 보호자가 신호 정보를 주지 않은 경우보다 줄 때 개가 보호자에게 훨씬 빠르게 다가온다.

놀이에는 소리, 시각, 촉감, 후각(코 핥기) 등 수많은 신호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신호가 많을수록 소통할 때 실수가 적어진다.

또한 놀이는 어린 동물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실수나 빠른 변화에 대응하는 법을 배우도록 돕는다.


글·러브펫동물병원 최인영 원장, 편집·김담희 기자





러브펫 동물병원 최인영 원장[사진=러브펫 동물병원]



◆최인영 수의사 프로필
-러브펫동물병원 대표원장(타임스퀘어점, 홈플러스 중계)
-SK ·BTV 85번 마이펫티비-신지의 궁금해요 펫닥터 MC
-주.러브펫코리아 대표이사
-서울특별시 수의사회 이사
-서울시 수의사회-반려동물 행동의학팀 수의사
-2014-15 한국프랜차이즈 신생브랜드 대상 수상
-영등포수의사회 부회장
-SBS ·동물농장 출연
-SBS ·긴급출동SOS 유기견 솔루션 위원
-KBS ·호루라기 유기견솔루션 출연
-YTN 청년창업런웨이 출연
-SBS CNBC CEO 출연
-MBC 에브리원 아이러브펫 자문수의사출연
-한국중고육상연맹 이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FCEO총동문 운영위원장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