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치매노인 치료시스템의 정책발굴 통해 치매관리에 대한 경기도의 책임 다할 것
![]() |
| ▲경기도의회 서현옥 의원, 경기도 치매노인복지정책위한 연구용역 착수(사진=경기도의회) |
[프레스뉴스] 류현주 기자= 경기도의회 서현옥 의원(더민주, 평택3)이 회장을 맡고 있는 경기도의회 의원 연구단체 「경기도 치매복지정책연구회」(이하 치매복지정책연구회)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치매복지정책연구회는 지난 16일(목)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회의실에서 “경기도 치매노인의 치료시스템 정책 방안 연구” 용역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열고 경기도 치매복지정책연구의 시작을 알렸다. 치매노인 치료 시스템에 대한 경기도의회의 정책 연구는 2014년 이후 처음이다.
치매는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1위로 앞으로 인구 노령화에 따른 노인 치매 환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중앙치매센터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의 추정 치매 환자 수는 213,110명으로 추정 치매 유병률은 6.92%에 달한다.
![]() |
| ▲경기도의회 서현옥 의원, 경기도 치매노인복지정책위한 연구용역 착수(사진=경기도의회) |
서현옥 의원은 “치매는 조기 발견하여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속도를 지연시키거나 완화할 수 있기에 경기도 치매복지정책연구회 활동을 통해 치매 조기 발견을 위한 진단과 치료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 치매관리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건강국 건강증진과 권정현 과장은 치매복지정책연구회의 연구활동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연구 결과물들이 정책과 사업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착수보고회에는 치매복지정책연구회의 회원인 경기도의회 김선영 의원(더민주, 비례), 김옥순 의원(더민주, 비례),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 전석훈 의원(더민주, 성남3)이 참석해 연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기대를 표명했다.
“경기도 치매노인의 치료시스템 정책 방안 연구”는 한세대 산학협력단의 정영인 교수가 책임연구원을 맡았으며, 공동연구원으로 공공정책과 조재혁 교수, 사회복지학과 이관표 교수, 연구보조원으로 치매 노인 치료기관 심리치료사인 최은희 연구원이 참여한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시민과 함께한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일생활 균형 저출생 대응 공감대 형성
프레스뉴스 / 25.11.05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음성군·음성농협, 농촌 어르신 위한 ‘농촌 왕진버스’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