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 면담, 국비 우선 반영 필요사업 12건·429억 건의
제주특별자치도는 5일 2026년도 주요 현안 사업 12건에 대한 429억 원 규모의 국비 증액을 국회에 건의했다.
이번 건의는 2026년도 예산안 공청회를 시작으로 국회 예산 심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이뤄진 것으로,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과 면담을 갖고 제주 핵심 현안 사업에 대한 당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제주도는 12년 만에 제주에서 열리는 2026년 전국체전 예산을 비롯해 1차산업 경쟁력 강화, 관광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직결된 사업에 대한 국비 증액을 건의했다.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제107회 전국체육대회와 제46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위해 정부는 156억 원(시설보수 90억, 대회운영 66억)을 편성했으나, 제주도는 경기장 73개소 시설 개보수와 개·폐회식 등 대회 운영을 위해 56억 원 증액된 212억 원(시설보수 110억, 대회운영 102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규사업으로는 △제주 농산물 스마트가공센터 건립(38억 원) △제주수산물 활어차 운송비 지원(35억 원) △인공지능(AI) 기반 관광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구축(40억 원) △서귀포권 거점 위판장 현대화(10억 원) △제주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구축(20억 원) △제주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11.3억 원) 등이 포함됐다.
계속사업으로는 △공공 공연예술연습공간 추가 조성(30억 원) △해녀의 전당 건립(6.5억 원)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개최(10.7억 원)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확대(10억 원)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개최(5억 원) 등에 대한 지원도 요청했다.
오영훈 지사는 면담에서 “제주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재정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도민 삶과 직결된 사업들에 대한 국회 차원의 초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제주 현안 해결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각별히 살펴보겠다”며 “제주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들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10월 제주도의회와 공동으로 ‘2026년 국비확보단'을 구성하고 33개 사업 846억원 규모의 국비 확보를 위한 공조체계를 구축했다. 제주도는 이번 주 시작되는 국회 예산 심사 기간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방문하는 등 국비 예산 증액을 위한 총력전을 펼칠 계획이다.
![]() |
| ▲ 정책위의장 면담 |
제주특별자치도는 5일 2026년도 주요 현안 사업 12건에 대한 429억 원 규모의 국비 증액을 국회에 건의했다.
이번 건의는 2026년도 예산안 공청회를 시작으로 국회 예산 심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이뤄진 것으로,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날 국회 본관에서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과 면담을 갖고 제주 핵심 현안 사업에 대한 당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제주도는 12년 만에 제주에서 열리는 2026년 전국체전 예산을 비롯해 1차산업 경쟁력 강화, 관광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직결된 사업에 대한 국비 증액을 건의했다.
내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제107회 전국체육대회와 제46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위해 정부는 156억 원(시설보수 90억, 대회운영 66억)을 편성했으나, 제주도는 경기장 73개소 시설 개보수와 개·폐회식 등 대회 운영을 위해 56억 원 증액된 212억 원(시설보수 110억, 대회운영 102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규사업으로는 △제주 농산물 스마트가공센터 건립(38억 원) △제주수산물 활어차 운송비 지원(35억 원) △인공지능(AI) 기반 관광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구축(40억 원) △서귀포권 거점 위판장 현대화(10억 원) △제주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구축(20억 원) △제주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11.3억 원) 등이 포함됐다.
계속사업으로는 △공공 공연예술연습공간 추가 조성(30억 원) △해녀의 전당 건립(6.5억 원)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개최(10.7억 원) △제주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확대(10억 원)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 개최(5억 원) 등에 대한 지원도 요청했다.
오영훈 지사는 면담에서 “제주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재정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도민 삶과 직결된 사업들에 대한 국회 차원의 초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제주 현안 해결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각별히 살펴보겠다”며 “제주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들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10월 제주도의회와 공동으로 ‘2026년 국비확보단'을 구성하고 33개 사업 846억원 규모의 국비 확보를 위한 공조체계를 구축했다. 제주도는 이번 주 시작되는 국회 예산 심사 기간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방문하는 등 국비 예산 증액을 위한 총력전을 펼칠 계획이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시민과 함께한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일생활 균형 저출생 대응 공감대 형성
프레스뉴스 / 25.11.05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농촌진흥청, 자색고구마 신품종 '보다미', 현장 평가회 열려
프레스뉴스 / 25.11.05

문화
음성군·음성농협, 농촌 어르신 위한 ‘농촌 왕진버스’ 운영
프레스뉴스 / 2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