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콘텐츠 융·복합 가능한 도심 내 혁신클러스터 제안

곽정일 / 기사승인 : 2018-07-15 17:30: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4차산업혁명 대비 혁신클러스터 조성 및 스마트시티 지원 필요"
<사진=경기연구원>

(이슈타임)곽정일 기자=경기연구원이 스마트 시티 조성을 위한 도심 내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클러스터는 산업집적지. 유사 업종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 기관들이 한곳에 모여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혁신클러스터를 통해 콘텐츠의 융·복합과 단계별 인큐베이팅 지원이 가능하다.


경기연구원은 15일 수도권 혁신클러스터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경기도 R&D 클러스터 조성을 제안한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도심 내 융복합 R&D클러스터 조성방안`보고서를 발표했다.


경기도는 4차산업혁명에 대응해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특화된 R&D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개방형 R&D생태계를 통해 지속해서 진화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지자체간 유망산업 유치를 위한 경쟁으로 콘텐츠·기술 등이 중복으로 투자되고 있으며, 기존의 용도지역지구제에 얽매인 융·복합개발의 제한, 하드웨어 중심의 시설배치로 혁신공간 조성 실패, 융·복합 콘텐츠 및 전시·체험기능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기술 특성과 수도권 내 지자체별 보유 자원 등을 고려한 새로운 혁신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수립 및 운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경기연구원은 혁신클러스터 조성 실현 방안으로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신(新) 수도권 혁신클러스터 조성방안 수립 및 제5차 국토종합계획 반영 ▲ 경직적인 용도분리 방지와 콘텐츠 융·복합 기반의 창의적 공간 조성, R&D ▲ 아이디어 상품화, 해외진출 및 사업화 지원 등 단계별 인큐베이팅 지원시스템 구축 ▲ 도심 내 일상생활과 기술R&D가 결합된 스마트시티 개발 ▲ 재생형 R&D단지 조성을 통한 노후·방치자원의 활용과 문화 자원화 등을 제안했다.


김태경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대규모 자본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 민간자본을 활용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며 "경기도는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콘텐츠 융?복합이 가능한 도심 내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