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명의료 중단 간소화, 최도자 '연명의료결정법 개정안' 발의

곽정일 / 기사승인 : 2018-06-25 10:54: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현행 환자가족 전원에서 배우자 및 1촌 이내의 직계 존·비속 등으로 조정
최도자 바른미래당 의원.(사진=최도자 의원실)

(이슈타임 통신)곽정일 기자=최도자 바른미래당 의원은 25일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 연명의료를 중단하는 데 동의가 필요한 가족의 범위를 조정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최도자 바른미래당 의원은 이날 이 같은 내용을 담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합의가 필요한 환자 가족을 배우자 및 1촌 이내의 직계 존·비속으로 하고 해당 사람이 없는 경우 2촌 이내의 직계 존·비속으로 하도록 했다.


현행법에서는 환자 의식이 없을 때 연명의료를 중단하려면 환자가족(19세 이상의 배우자 및 직계혈족) 전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고령자의 경우 자녀와 손주까지 모두 합치면 수십 명에 이를 수 있다.


최도자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6월 3일,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4개월 동안 환자가족 전원합의에 의한 연명의료중단은 총 3203건이었으며, 환자가족이 5명~9명인 경우가 22.9%(733명), 10명 이상인 경우도 0.7%(22명)이나 됐다.


최 의원은 "현행법에 환자의 의식이 없을 때 연명의료를 중단하려면 가족 전원의 동의를 받도록 되어 있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고, 환자의 의사를 잘 알 수 없는 사람의 동의까지 받도록 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며 "환자의 존엄한 임종을 돕고 의료현실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개정안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