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 소시지 모습.[사진=농진청] |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농촌진흥청이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활용해 발효 소시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13일 농진청에 따르면 이 유산균(와이셀라 시바리아 JW15)은 2016년 국립농업과학원이 김치에서 분리해 식품원료로 등록한 균주이다.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면역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연구진이 김치 유산균으로 발효 소시지를 만들어 품질을 분석한 결과 상업용 균주보다 발효가 잘되고 조직감이 개선됐다.
유산균 발효 능력이 좋을수록 소시지 산성도가 낮아진다. 또한 김치 유산균으로 제조한 발효 소시지가 상업용 균주 소시지보다 경도(단단한 정도) 23.5%, 응집성 27.1%, 검성(잘 뭉치는 정도) 58.5%, 씹힘성은 62.7% 더 높아 조직감이 향상됐다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높다는 것은 조직감이 단단하다는 의미로, 품질 좋은 발효 소시지는 단단한 조직감을 지닌다. 발효 소시지는 유럽 등 축산 선진국에서 즐겨 먹는 육제품이다. 짧게는 1개월 미만에서 길게는 몇 달씩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면서 발효·건조해 완성한다.
해외에서는 이탈리안 살라미, 게르마닉 살라미, 제노아, 페퍼로니 등 다양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업체가 수입 살라미와 한국형 살라미를 판매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축산물이용과 강선문 농업연구사는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김치 유산균을 발효 미생물로 활용해 품질뿐 아니라 건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농가와 식육가공업 종사자들에게 보급해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순정우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충북
옥천군농업기술센터, 11일부터 하반기 공공급식 품목 체험행사 시작
류현주 / 25.09.12
경기남부
안산시, 일동 주민과 현답버스 동행… 현안 직접 확인하며 소통
장현준 / 25.09.12
경제일반
함평군, 서해안철도 국정과제 실현 총력… 5개 시군과 공동 대응 나선다
프레스뉴스 / 25.09.12
문화
국가유산청, 2026년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379건 선정
프레스뉴스 / 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