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위만 자극한다"
(이슈타임)윤지연 기자=오는 2050년에는 숙취가 없는 술이 상용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인디펜던트는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데이비드 넛 교수가 사교성을 높여주는 등 술의 긍정적인 효과를 유지하며 입 마름, 구토, 두통 등을 일으키지 않는 새로운 합성 술을 개발했다"고 보도했다. 넛 교수는 "지난 30년간 술과 뇌의 상관관계를 탐구하는 연구가 다수 이뤄졌다. 알코신스는 뇌에서 술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위만 자극한다. 즉 술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는 부위는 건드리지 않는다"고 뇌과학 원리를 설명했다. "알코신스"(alcosynth)라고 불리는 이 술에 대해 넛 교수는 "특허로 등록했으며 현재 상용화를 위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간과 심장을 손상시키지 않고 술 마시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2050년까지 기존 술을 완전히 대체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알코신스가 상용화 되기까지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는 "많은 비용 탓에 펍에서 알코신스 칵테일을 주문할 수 있으려면 꽤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영국 보건부 대변인은 "재미있는 아이디어다"라면서도 "정부의 재정 지원을 언급하기엔 시기적으로 이르다"고 말했다. 영국 비어 앤 펍협회 닐 윌리엄스는 "알코신스는 없어도 된다. 도수가 낮은 술 등 숙취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많다"며 "술을 절제하는게 우선이다. 술을 절제하면 숙취에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숙취가 없는 술이 2050년 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사진=YTN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김동선 뮤지컬소설 '휘몰이' 작가노트] 빛이여, 길을 열어라
이경희 / 25.09.12
사회
'압도적 속도‧규모로 주택 공급' 서울시 오세훈 시장, 정비사업 시...
프레스뉴스 / 25.09.12
국회
서울시의회 김영옥 보건복지위원장, ‘2025년 서울우먼업페어(동부권역) 개막식’ ...
프레스뉴스 / 25.09.12
사회
파주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착수보고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09.12
사회
농협 임실군지부‧관내 농‧축협, 임실군에 고향사랑기부금 3천만 원 기탁
프레스뉴스 / 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