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공모 선정…국비 16억 5000만 원 확보
충청남도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2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선정된 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휘발성 유기화합물 장거리 상시 감지·예방 시스템 개발’로, 도와 충남과학기술진흥원이 함께 사업을 발굴해 지난 7월에 응모했다.
주요 사업 내용은 △유해화학물질 감시 복합카메라 개발 △감시 내용 실시간 공유 시스템 구축 △개발 기술 실증 등이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국비 16억 5000만 원, 도비 4억 1250만 원 등 총 20억 6250만 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대형 폭발·화재 사고 및 이로 인한 피해 감소를 위해 시스템 개발 및 기술 실증을 완료하는 대로 도내 유해화학물질 배출 사업장에 해당 시스템을 보급할 예정이다.
이강식 도 안전정책과장은 “도내에는 다수의 화력발전소와 화학산단이 있어 대형 사고 피해 저감을 위해 이번 사업을 마련했다”며 “이번에 개발하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 정책도 지속 발굴·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청남도청
충청남도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2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선정된 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휘발성 유기화합물 장거리 상시 감지·예방 시스템 개발’로, 도와 충남과학기술진흥원이 함께 사업을 발굴해 지난 7월에 응모했다.
주요 사업 내용은 △유해화학물질 감시 복합카메라 개발 △감시 내용 실시간 공유 시스템 구축 △개발 기술 실증 등이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국비 16억 5000만 원, 도비 4억 1250만 원 등 총 20억 6250만 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대형 폭발·화재 사고 및 이로 인한 피해 감소를 위해 시스템 개발 및 기술 실증을 완료하는 대로 도내 유해화학물질 배출 사업장에 해당 시스템을 보급할 예정이다.
이강식 도 안전정책과장은 “도내에는 다수의 화력발전소와 화학산단이 있어 대형 사고 피해 저감을 위해 이번 사업을 마련했다”며 “이번에 개발하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 정책도 지속 발굴·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국회
수원특례시의회, 시 승격 76주년, KBS 열린음악회 참석
프레스뉴스 / 25.09.11
경남
산청시니어클럽, 2년 연속 노인일자리사업 우수기관 선정
정재학 / 25.09.11
국회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옥정호 녹조 현장·보건환경연구원 찾아… 환경...
프레스뉴스 / 25.09.11
연예
'마이 유스' 천우희, ‘국민 남매’ 상봉 앞두고 송중기에게 건넨 ...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5급·외교관후보자 2차시험 합격자 발표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재외동포청, 카자흐스탄 재외동포 전담기구와 협력관계 구축
프레스뉴스 / 25.09.11
경제일반
통계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업무협약을 통한 인구감소지역 정책 지원 및 국제포럼 실시...
프레스뉴스 / 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