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엔"서비스구성 |
[프레스뉴스] 임규모 기자= 행복도시건설청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함께 행복도시 3단계 1-2차 스마트 인프라 구축사업을 완료하고 12월 8일부터 보다 고도화된 시민 체감형 서비스를 행복도시 전역으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모바일 기반의 세종엔 고도화, 초정밀버스위치정보안내 및 미세먼지 측정·알림 서비스 제공, 자율주행순찰로봇 도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다양한 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세종엔" 서비스를 기존 웹 기반에서 모바일 기반(앱 서비스)으로 고도화해 이날부터 정식 출시한다.
교통, 방범, 환경, 문화 등 총 86종의 데이터를 모바일을 통해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초정밀버스위치정보, 미세먼지지도, 안심귀가서비스, 놀이터 혼잡도 안내, 병원·약국 휴일정보 등 다양한 시민 편의 스마트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지도에서 1초 단위(cm급)로 갱신되는 버스 실시간 위치를 "세종엔" 앱을 통해 안내하는 초정밀버스위치정보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버스 승·하차 알림을 설정하면 타고 내리는 정류장 3구간 전부터 버스 도착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행복도시 뿐 아니라 세종시 전역에 해당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으로 세종시와 협업해 BRT 등 버스에 초정밀 단말기가 설치되는 이달 말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1-4생활권을 대상으로 실증했던 리빙랩 1차 사업 중 시민 만족도가 높았던 미세먼지 측정·알림 서비스도 행복도시 전역으로 확대한다.
미세먼지 측정기 106대도 행복도시 주요 구간에 구축했다. 측정기가 설치된 현장 뿐 아니라 지도 서비스와 연계된 "세종엔" 앱을 통해서도 (초)미세먼지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최근 기술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순찰로봇을 행복도시 대표 명소인 중앙공원에 도입하고 주요 구간을 24시간 순찰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외에도 스마트 서비스 장애에 대한 현장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지능형 인프라 관리 서비스”를 도입하고 공공 WiFi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개인정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보안장비도 구축했다.
이번 완료한 3단계 1-2차 사업은 '21년 8월 착수해 1년간 46억을 투입했으며 이후 5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쳐 주민 생활과 밀접한 교통·안전·시민편의 등 스마트 서비스를 고도화·확산하는데 주력했다.
이정희 행복청 도시계획국장은 “2030년까지 추진 예정인 행복도시 스마트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행복도시를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구현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세종시, LH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첨단 IC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적극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임규모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제일반
순천시, 원도심 ‘애니메이션·웹툰 클러스터’ 제막…콘텐츠산업 도시로 도약
프레스뉴스 / 25.09.10
문화
제주도, 서귀포의료원 정신과 입원병동 개설…26병상 규모 전문치료 시작
프레스뉴스 / 25.09.10
사회
옥천교육지원청, 학교운영위원회위원장협의회·학부모연합회와 소통간담회
프레스뉴스 / 25.09.10
사회
괴산군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의 날‘ 맞아 생명존중 캠페인 펼처
프레스뉴스 / 25.09.10
사회
전주시, 생명나눔 희망의 씨앗 캠페인 전개 ‘생명을 이어주세요!’
프레스뉴스 / 25.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