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체납추적팀, 근무환경 열악 '대책시급'

김교연 / 기사승인 : 2022-09-29 17:25: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직원 1인당 2895건(체납자 2559명) 담당...지난해 말 기준 누계체납액 99조 8607억
▲ 강준현 국회의원

[프레스뉴스] 김교연 기자=체납인원과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이를 추적하는 체납추적팀 근무자들의 근무 환경은 매우 열악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세종을)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세청 체납추적팀 직원 1인당 2895건(체납자 2559명)의 사건을 담당하고 있지만 수색 현장에서 신체적 위협에 무방비로 노출돼 부상 시 국세청으로부터 적절한 지원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말 기준 누계체납액은 무려 99조 8607억을 기록, 이에 따른 강도 높은 추적업무와 엄정한 대응을 위해 조직된 체납추적팀 1678명이 485만 8022건의(체납자 429만 4656명) 체납사건을 담당하고 있었다.

 

체납자의 경우 표면적으로 드러난 본인 명의 재산이 없고 등록주소지와 실거주지가 다른 경우가 많아 체납추적팀이 잠복·신용카드 조회 등을 통해 거주지 및 사업장을 찾아내야 하고 은닉해둔 재산을 수색해 징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체납추적팀 공무원이 현장출동 시 체납자의 흉기 난동으로 상해를 입고 부탄가스로 생명의 위협을 당하는 등 신체적인 폭력 사례도 발생했다. 하지만 협박을 비롯한 각종 악의적 강제징수 회피행위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이에 대해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고 위와 같은 사례가 발생하자 2020년 말 방검복 233벌과 방검장갑 2000켤레만을 지급, 체납추적팀의 출동 현황집계 및 부상 여부 관리조차 제대로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위험하고 어려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반면 인센티브 조건은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전문요원 자격 취득, 체납추적분야에서 본청 3년 또는 본·지방청 4년이상 근무, 현금정리 우수자 등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한 사람 중 1개 세무서 당 1명 또는 2명만 선정해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인센티브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과 소방청, 서울시의 체납추적팀인 38세금징수과의 지원 현황과 비교해도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강 의원에 따르면 경찰청의 경우 현장출동 직원에게 공상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각종 서류작성, 재심·소송 지원을 하고 있다. 또 부상 완치시까지 치료비 진료비를 전액 지급하고 현장에서 폭행 등 충격 상황 노출을 대비해 트라우마 등 예방을 위해 긴급심리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소방청의 경우는 암 등 중증질환으로 투병하는 사례가 빈번해 공무상 인과관계 입증을 위한 입증지원사업을 진행, 찾아가는 상담실을 통해 스트레스 회복 강화 및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비용 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 38세금징수과의 경우 업무 의욕 고취를 위해 징수 직원에게 체납징수액의 최대 5%까지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강준현 의원은 “누계 체납액이 100조에 육박하고 직원 1인당 담당 사건이 3000건에 달하는 매우 열악한 근무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장근무에 대한 보호 및 인센티브가 부족하다”며 “직원의 안전을 보장하고 적절한 지원과 인센티브 지급을 통해 업무 의욕을 높여 원활한 징세 행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