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뉴스] 장현준 기자= 충주시 소상공인들은 지난해 4월부터 ‘충주복합체육센터’ 건설현장에서 1억4천8백여 만원 [식대(1.620만원), 장비임대료(4.030만원), 인권비(4.550만원), 자재대금(3.600만원), 복사기임대료(1.000만원)] 정산을 받지 못하고 있다.
충주시 소상공인들이 지난해 4월부터 충주시에서 발주한 관급 공사라서 믿고, 밥도 주고, 일도 하고, 자재도 주고, 장비도 댔는데 대금 정산 없이 시공 업체가 부도가 났으니 30% 정도로 정산을 받으라는 충주시의 권유에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충주시가 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은 없다. 하도급을 받았으면 원청 회사와 민사 관계가 있기 때문에 딱하기는 한데 시에서 예산을 들여서 해결할 수 있는 법적 근거나 조치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충주시민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보호하고 챙겨야 할 수장 격인 시장이 충주시가 발주한 공사에 대해 미정산 대금이 발생하자 충주시 소상공인들의 아픔을 외면하는 발언에 대해 충주시 소상공인들의 불만이 팽배해지고 있다.
건설현장이 잘못되어 새롭게 시작하려면, 타절 시에 공사현장 리스크를 말끔히 해결하고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 그러나 충주시는 공사 재개만을 위해 수의계약이라는 초강수만 고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주복합체육센터는 옛 공설운동장 자리에 들어서는 복지시설이다. 지난해 시공사 부도로 공정률 70% 수준에서 공사가 7개월 정도 멈췄다.
충주시가 두 차례 부도 사태를 겪은 충주복합체육센터 공사 재개를 위해 결국 청주업체인 특정 업체와 지난 5월 15일 29억 9000만원 규모의 수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위해 충주시는 20억원의 추경 예산을 세웠다.
하지만 공정률이 이미 70% 이상 진행된 상태에서 기존 시공·하도급사와 연계된 업체를 선택해 또다시 반복된 부실 시공 우려와 지역 업체 홀대 논란이 나오고 있다.
충주지역정계에서도 충주시가 이번 수의계약이 감사원 컨설팅을 통해 절차 상 하자는 없었다고 했지만, ‘계약의 타당성’과 ‘지역 경제 파급효과’ 측면에서 더 폭넓은 논의 없이 밀실처럼 결정됐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충주복합문화센터 공사는 2021년 착공 이후 시공사 부도와 하도급 문제 등으로 수차례 중단되며, 충주시민들이 생계를 걱정하는 사태까지 이어졌으나 충주시는 뒷짐만 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었다.
한편, 충주시는 시공사 부도로 공사를 중단했던 충주복합체육센터를 오는 10월 준공 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김포교육지원청, 김포경찰서와 학교폭력예방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유관기관 협의회...
프레스뉴스 / 25.09.10
문화
전남도, 문화·청년 교류로 하나되는 영호남 상생협력 화합대축전
프레스뉴스 / 25.09.10
정치일반
경기도의회 김진경 의장, 당과 국회에 경기도 민생예산 지원사격 요청
류현주 / 25.09.10
경제일반
고용노동부, 성장과 상생을 위한 일터혁신 노사의 든든한 파트너, 우수 컨설턴트 선...
프레스뉴스 / 25.09.10
경제일반
중소벤처기업부, 9월 동행축제, 롯데백화점과 함께하는 상생판매전 개최
프레스뉴스 / 25.09.10
정치일반
국민성장펀드 '150조 원'으로 확대…AI·반도체 등 첨단산업 지원...
프레스뉴스 / 25.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