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뉴스] 김교연 기자=세종시가 생활·건강·안전분야에서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혁신기술을 고도화하면서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도시로의 성장을 꾀한다.
시는 20일 대회의실에서 생활·헬스케어·안전 3개 분야에 대해 ‘2단계 고도화사업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2020년부터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세종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앞서 생활·헬스케어·안전 등 3개분야에 대해 정부 위탁협약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날 보고회에는 소방청, 국·시립도서관, 국립세종수목원, 시 시설관리공단, 에스케이(SK)쉴더스, 세종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보고회는 지난해 국토부에서 이관된 3가지 서비스에 대한 사업방향, 추진상황 등을 설명하는 시간으로 진행했다.
먼저 시민참여형 플랫폼인 ‘세종시티앱’은 기존 서비스 기능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블록체인 분산신분인증(DID)기반의 신분증명서비스를 도입해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된다.
분산식별자(DID)는 분산신분인증(Decentralized Identifier) 방식으로 중앙시스템에 통제되지 않고, 개인이 자신의 신원정보에 대해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는 기술체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세종시티앱을 통해 모바일 시민증, 국·시립도서관 회원증, 청사 방문증, 시 소재 공공시설 이용 할인증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이·통장, 단체, 민간 대상의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도입하고, 각종 행사예약과 관리도 가능해진다.
또 웨어러블, 혈당계 등 가정용의료기기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정보를 연계해 건강데이터를 수집하고, 도담·아름·종촌·보람·반곡·해밀동·조치원읍 등 헬스케어존 7곳을 추가 설치한다.
‘도시 범죄예방 긴급대처 서비스’는 인공지능 선별관제 기술을 적용해 대형화재, 쓰러짐, 싸움, 사고 등 위험상황을 조기 식별해 긴급대처가 가능해진다.
도시통합정보센터내 통합플랫폼과 실시간 119상황실 연계로 사건과 사고 영상, 위치정보 등 긴급상황정보가 공유되고, 정보제공 포탈인 ‘세종엔’과 교통 전광판(VMS) 등으로 긴급상황전파가 가능해져 시민 안전망이 더욱 강화된다.
이중현 지능형도시과장은 “국가시범도시 위·수탁협약으로 추진되는 공공서비스는 전 시민이 고르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세종시 전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시민 참여 확대와 안전망 강화에 역점을 두고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교연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국회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전통주·가루쌀 단지, 농촌체험 현장 방문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충청북도청소년종합진흥원 청소년성문화센터 ‘2025년 성교육자원활동가 역량강화 워크...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충청광역연합, 2025년 충청권 공공기관 지역인재 합동채용설명회 성료
프레스뉴스 / 25.09.11
경제일반
화순군, 9월 정기분 재산세 81억 9,300만 원 부과
프레스뉴스 / 25.09.11
경제일반
군산시-부안군-고창군-영광군-함평군, 서해안철도 협의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