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규모 5억원으로 대폭 확대 및 사후관리 강화로 안전지수 향상 도모
대전시는 코로나 19 이후, 시민의 안전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안전문화 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마을공동체” 중심으로 지역의 안전문제를 해결하는‘2020년 안심마을 만들기 2차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다음달부터 추진하는 이번 2차사업은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돼 사회적자본지원센터와 동 행정복지센터와의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촘촘한 사후관리를 통해 그동안 추진한 안심마을만들기 사업의 효과성과 실효성을 높인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사회적자본지원센터는 사업기획단계부터 사후관리단계까지 전과정에 걸쳐 추진과제 발굴, 자원연계, 코디네이터 파견 등의 지원을 하게 된다.
또한 그동안 안심마을사업이 1년 단위로 진행되던 것을 사후관리를 강화해, 사업종료 이후 사후관리 상황을 모니터링 및 평가해 추가적인 사업비를 지원함으로써 안심마을 사업이 해당 지역의 안전구심체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안심마을 사업별 지원금액을 최대 5천만원까지 확대해 10개 내외 사업에 총 5억원을 지원함으로써 사업내용의 다양화 및 주민의 참여율을 높일 예정이다.
대전시 박월훈 시민안전실장은 "새로운 안심마을 만들기 사업이 다양한 주민의 목소리를 담아 안심마을공동체 중심으로 안전한 대전을 만드는데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광역시청
대전시는 코로나 19 이후, 시민의 안전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안전문화 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마을공동체” 중심으로 지역의 안전문제를 해결하는‘2020년 안심마을 만들기 2차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다음달부터 추진하는 이번 2차사업은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돼 사회적자본지원센터와 동 행정복지센터와의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촘촘한 사후관리를 통해 그동안 추진한 안심마을만들기 사업의 효과성과 실효성을 높인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사회적자본지원센터는 사업기획단계부터 사후관리단계까지 전과정에 걸쳐 추진과제 발굴, 자원연계, 코디네이터 파견 등의 지원을 하게 된다.
또한 그동안 안심마을사업이 1년 단위로 진행되던 것을 사후관리를 강화해, 사업종료 이후 사후관리 상황을 모니터링 및 평가해 추가적인 사업비를 지원함으로써 안심마을 사업이 해당 지역의 안전구심체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안심마을 사업별 지원금액을 최대 5천만원까지 확대해 10개 내외 사업에 총 5억원을 지원함으로써 사업내용의 다양화 및 주민의 참여율을 높일 예정이다.
대전시 박월훈 시민안전실장은 "새로운 안심마을 만들기 사업이 다양한 주민의 목소리를 담아 안심마을공동체 중심으로 안전한 대전을 만드는데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슈타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남
산청시니어클럽, 2년 연속 노인일자리사업 우수기관 선정
정재학 / 25.09.11
국회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옥정호 녹조 현장·보건환경연구원 찾아… 환경...
프레스뉴스 / 25.09.11
연예
'마이 유스' 천우희, ‘국민 남매’ 상봉 앞두고 송중기에게 건넨 ...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5급·외교관후보자 2차시험 합격자 발표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재외동포청, 카자흐스탄 재외동포 전담기구와 협력관계 구축
프레스뉴스 / 25.09.11
경제일반
통계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업무협약을 통한 인구감소지역 정책 지원 및 국제포럼 실시...
프레스뉴스 / 25.09.11
정치일반
“미래 먹거리 릴레이 건의” 김관영 전북도지사 장관급 방문현장 밀착 호소 총력
프레스뉴스 / 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