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빛, 검은 산수’전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에서는 오는 20일 부터 25일까지 ‘양규준 개인전’이 열린다.
작가는 전북 순창 출생으로 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뉴질랜드 화이트클리프 미대 대학원, 오클랜드 미술대학원 실기 과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개인전 , 영은미술관, 백송갤러리, 화이트스페이스 갤러리, 노스아트 갤러리 등을 비롯해 18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또한 150여 회의 기획 초대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미술학부 서양화과 출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출강, 선화예고 미술부를 출강한 바 있다.
작가의 작품은 다양한 붓의 흔적들로 가득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전작에서 보여줬던 확실한 형태의 붓 터치들에서 검은 산수라는 이름으로 화면에 스며든다.
가만히 보고 있으면 반복적으로 스미고 번지고 중첩되어 검은 색이 마치 화선지에 물과 먹으로 그려내는 수묵처럼 보인다.
“한겨울 아침, 하얀 창호지 문에 비친 격자 문살, 까만 문고리 그림자 주위는 아직 희미한 어둠, 온기를 더해가는 구들장 창호지 문 사각프레임 은은한 빛을 품어내고 있었다.
젖은 종이 면을 타고 흐르는 물방울의 변주곡, 소리 없는 아우성 번짐, 확산, 증발, 그리고 소멸, 그것은 찰나에 미학이었다.
유년 시절의 시지각적 경험들이 나의 작업 한 부분이 됐고 마치 농부가 밭에 고랑을 내 두렁을 만들 듯 나는 무념의 마음가짐으로 아득한 검은 공간에 흰 획을 한 땀씩 쌓아가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캔버스에 아크릴이라는 서양 재료를 통해 번지고 흘러내리는 수묵의 효과를 창출해낸 작가의 작품은 계획과 우연의 만남, 이성과 감성, 채움과 비움이라는 상반된 요소 간의 교차를 보여준다.
내면의 이중성의 요소들이 조화롭게 공존하고 뒤섞이며 만들어낸 독특한 작가만의 긴장감과 생명력이다.
의도와 우연이라는 상반된 요소들에서 균형과 불균형 속에서 드러나 따뜻한 긴장감으로 작동된다.
검은 산수는 산수화적 특성과 캔버스와 아크릴이라는 재료가 전하는 특성, 즉 동서양 미술의 혼합이 내재해있다.
이러한 혼성과 더불어 의도/비의도 된 작가 신체의 움직임과 들숨, 날숨의 호흡으로 인해 생긴 변화는 작가의 회화를 채움과 비움 사이를 교차하게 만든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마주치는 모든 것들은 이미 관계성 속에 있다고 했다.
이것은 모든 이중성 안에 나아가 작품을 통해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이 있는 것들에 대한 존재의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무것도 없는 듯하지만 결국 어떤 풍경이 감지고 켜켜이 쌓여 작가의 제스처에 따라 드러나는 모호한 속에 사색의 세계와 마주하기를 바란다.
양규준 개인전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에서는 오는 20일 부터 25일까지 ‘양규준 개인전’이 열린다.
작가는 전북 순창 출생으로 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뉴질랜드 화이트클리프 미대 대학원, 오클랜드 미술대학원 실기 과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개인전 , 영은미술관, 백송갤러리, 화이트스페이스 갤러리, 노스아트 갤러리 등을 비롯해 18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또한 150여 회의 기획 초대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미술학부 서양화과 출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출강, 선화예고 미술부를 출강한 바 있다.
작가의 작품은 다양한 붓의 흔적들로 가득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전작에서 보여줬던 확실한 형태의 붓 터치들에서 검은 산수라는 이름으로 화면에 스며든다.
가만히 보고 있으면 반복적으로 스미고 번지고 중첩되어 검은 색이 마치 화선지에 물과 먹으로 그려내는 수묵처럼 보인다.
“한겨울 아침, 하얀 창호지 문에 비친 격자 문살, 까만 문고리 그림자 주위는 아직 희미한 어둠, 온기를 더해가는 구들장 창호지 문 사각프레임 은은한 빛을 품어내고 있었다.
젖은 종이 면을 타고 흐르는 물방울의 변주곡, 소리 없는 아우성 번짐, 확산, 증발, 그리고 소멸, 그것은 찰나에 미학이었다.
유년 시절의 시지각적 경험들이 나의 작업 한 부분이 됐고 마치 농부가 밭에 고랑을 내 두렁을 만들 듯 나는 무념의 마음가짐으로 아득한 검은 공간에 흰 획을 한 땀씩 쌓아가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캔버스에 아크릴이라는 서양 재료를 통해 번지고 흘러내리는 수묵의 효과를 창출해낸 작가의 작품은 계획과 우연의 만남, 이성과 감성, 채움과 비움이라는 상반된 요소 간의 교차를 보여준다.
내면의 이중성의 요소들이 조화롭게 공존하고 뒤섞이며 만들어낸 독특한 작가만의 긴장감과 생명력이다.
의도와 우연이라는 상반된 요소들에서 균형과 불균형 속에서 드러나 따뜻한 긴장감으로 작동된다.
검은 산수는 산수화적 특성과 캔버스와 아크릴이라는 재료가 전하는 특성, 즉 동서양 미술의 혼합이 내재해있다.
이러한 혼성과 더불어 의도/비의도 된 작가 신체의 움직임과 들숨, 날숨의 호흡으로 인해 생긴 변화는 작가의 회화를 채움과 비움 사이를 교차하게 만든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마주치는 모든 것들은 이미 관계성 속에 있다고 했다.
이것은 모든 이중성 안에 나아가 작품을 통해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이 있는 것들에 대한 존재의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무것도 없는 듯하지만 결국 어떤 풍경이 감지고 켜켜이 쌓여 작가의 제스처에 따라 드러나는 모호한 속에 사색의 세계와 마주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희수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늦은 오후부터 전국 '많은 비'...강릉 최대 60㎜...
강보선 / 25.09.12
국회
수원특례시의회, 시 승격 76주년, KBS 열린음악회 참석
프레스뉴스 / 25.09.11
경남
산청시니어클럽, 2년 연속 노인일자리사업 우수기관 선정
정재학 / 25.09.11
국회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옥정호 녹조 현장·보건환경연구원 찾아… 환경...
프레스뉴스 / 25.09.11
연예
'마이 유스' 천우희, ‘국민 남매’ 상봉 앞두고 송중기에게 건넨 ...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5급·외교관후보자 2차시험 합격자 발표
프레스뉴스 / 25.09.11
정치일반
“미래 먹거리 릴레이 건의” 김관영 전북도지사 장관급 방문현장 밀착 호소 총력
프레스뉴스 / 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