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응계획을 지속해서 보완·점검할 것"
(이슈타임)곽정일 기자=한국은행이 미·중 무역갈등 심화로 교역여건이 악화돼 우리 경제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한은은 26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다"며 "금융시장을 안갯속으로 몰아넣는 변수는 글로벌 무역분쟁,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이라고 설명했다.
미국과 중국이 이달 초 340억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25% 관세를 매기면서 무역 전쟁이 촉발됐다.
이후 미국은 2000억달러어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고 중국도 맞대응을 예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3월에 이어 6월 정책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은 "경제여건 작은 변화에도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정책 방향과 관련해 일관성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제전망 정확도를 높여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외환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실시하고 금융·외환시장 불안 시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을 지속해서 보완·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컨틴전시 플랜은 일종의 비상 계획으로 국가 간 전쟁이나 분쟁, 유가의 급격한 변동, 자연재해, 대규모 노사분규, 통화가치의 급격한 등락 등 경영자가 예측하기 어렵고 또 예측하더라도 단기간에 회복이 어려운 우발적인 사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경영기법을 뜻한다.
가계부채는 정부 주택시장·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다만 신용대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점,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돌고 있다는 점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고 봤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신흥시장국 금융불안 발생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 대외 리스크 요인 모니터링도 한층 강화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곽정일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화성특례시, 주민과 함께 이끌어낸 열병합발전시설 계획 철회...LH, 대체부지 재...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화성특례시, 보건복지부 주관 자살예방시행계획 추진 실적 우수 기초 지자체 선정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백경현 구리시장, 시민정원단 역량강화 교육 통해 정원문화 확산 견인
프레스뉴스 / 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