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벤처활성화, 대기업 M&A가 해법

곽정일 / 기사승인 : 2018-07-29 19:50: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산·학·연 협력 및 교류활동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 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슈타임)곽정일 기자=4차산업혁명과 관련해 벤처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대기엄 M&A가 촉진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미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벤처기업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이지만 이들 기업은 투자자금과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규제에 대한 부담이 커 산업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은 지난 2016년 기준 사물인터넷(IoT) 분야가 340개(39.4%)로 가장 많고 로봇(194개·22.5%), 가상현실·증강현실(60개·6.9%) 등이 뒤를 이었다. 2015년 기준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평균 매출과 고용 인원은 각각 40억원과 13.5명으로 집계됐다. 출원 중인 특허는 4.2건으로 벤처기업(0.8건)보다 많아 성공 잠재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기업의 정책 방향과 과제도 제시했다. 

그는 "기업 지원평가 때 당장의 성과보다는 인적 자원의 잠재력 평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융자나 보증 형태의 지원보다는 실패해도 재기 가능한 투자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4차 산업 분야의 표준화가 진행되지 않은 만큼 대·중소기업 간 M&A가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이 연구위원은 "개방형 직위를 활용해 M&A 전문가를 영입, 벤처기업 인수의 장애 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며 "산·학·연 협력 및 교류활동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