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차세대 바이오 연구개발(R&D) 생태계 강화...글로벌 경쟁력 확보 박차
경상북도는 안동시,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과 함께 ‘제1회 산학연 연계 세포외소포체 기반 치료제 및 진단기술 미래전략 심포지엄’을 28일 안동 스탠포드 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차세대 바이오 치료제·진단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세포외소포체(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세포들이 외부환경으로 분비하는 나노크기의 소포체) 연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학·연 전문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국내 대학·연구기관·기업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신 기술 동향과 연구 전략을 공유했다.
행사에서는 ▴세포외소포체 최신 연구 동향 ▴기술 상용화 전략 ▴마이크로 알앤에이(RNA) 분석 기반 응용기술 ▴바이오 생산기반 구축 방향 등 실질적인 기술 발전 전략을 중심으로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경상북도(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올해 4월 산업통상부가 주관하는 ‘2025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세포외소포체 기반 난치성질환 진단 및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공모에 선정(총사업비 173억, 국비 100억)되어, 첨단바이오 핵심 연구개발(R&D) 인프라의 역할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동안 경상북도는 안동 바이오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다양한 연구·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며, 전주기 백신 생태계를 완성해 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지역 바이오 생태계를 기반으로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차세대 치료제 및 진단기술 연구영역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혁준 메타에이아이(AI)과학국장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의 실증 플랫폼은 글로벌 수준의 품질 검증이 가능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있어, 향후 공동연구 추진 시 연구와 산업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새로운 혁신 플랫폼을 만드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국내외 연구기관·기업과 협력해 세포외소포체 기반 기술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 ▲ 차세대 백신·치료제 핵심, 세포외소포체 미래전략 심포지엄 개최 |
경상북도는 안동시,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경국대 글로컬대학추진단과 함께 ‘제1회 산학연 연계 세포외소포체 기반 치료제 및 진단기술 미래전략 심포지엄’을 28일 안동 스탠포드 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차세대 바이오 치료제·진단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세포외소포체(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세포들이 외부환경으로 분비하는 나노크기의 소포체) 연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학·연 전문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국내 대학·연구기관·기업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신 기술 동향과 연구 전략을 공유했다.
행사에서는 ▴세포외소포체 최신 연구 동향 ▴기술 상용화 전략 ▴마이크로 알앤에이(RNA) 분석 기반 응용기술 ▴바이오 생산기반 구축 방향 등 실질적인 기술 발전 전략을 중심으로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경상북도(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올해 4월 산업통상부가 주관하는 ‘2025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세포외소포체 기반 난치성질환 진단 및 치료제 개발 기반구축)’공모에 선정(총사업비 173억, 국비 100억)되어, 첨단바이오 핵심 연구개발(R&D) 인프라의 역할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동안 경상북도는 안동 바이오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백신상용화기술지원센터,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다양한 연구·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며, 전주기 백신 생태계를 완성해 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지역 바이오 생태계를 기반으로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차세대 치료제 및 진단기술 연구영역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혁준 메타에이아이(AI)과학국장은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의 실증 플랫폼은 글로벌 수준의 품질 검증이 가능한 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있어, 향후 공동연구 추진 시 연구와 산업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새로운 혁신 플랫폼을 만드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국내외 연구기관·기업과 협력해 세포외소포체 기반 기술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전남소방, “쉬는 날에도 소방관 본능”... 킥보드 사고 현장서 시민 구해
프레스뉴스 / 25.11.28

사회
담양군, 신규 공무원과 함께하는 11월 ‘마주온(溫)데이’ 개최
프레스뉴스 / 25.11.28

사회
미추홀구, 직원 대상 슬기로운 미추홀 생활을 위한 ‘혁신적인 조직문화 조성’ 교육...
프레스뉴스 / 25.11.28

경제일반
강원경제자유구역청, 북평지구 30년 만에분양·임대율 97%… 수소 산업 중심 산업...
프레스뉴스 / 25.11.28

국회
서울특별시의회 최호정 회장, 지방의회 숙원인 지방의회법 제정, 내년 초에는 마무리...
프레스뉴스 / 25.11.28

스포츠
2026대구마라톤 D-86… 대구시, 대회 준비 페이스 올린다
프레스뉴스 / 25.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