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北 탈북기자 배제 '바로잡아야' 성토

곽정일 / 기사승인 : 2018-10-16 13:31:1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비굴함까지 평화 노력 포장 안 돼…냉전의식 못 벗어나고 있어"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하고있는 자유한국당 지도부의 모습. <사진=곽정일 기자>
(이슈타임)곽정일 기자=통일부가 지난 15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에 탈북민 출신 기자를 배제한 것을 두고 야당이 `바로잡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성토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SNS를 통해 "스스로 알아서 기는 비굴함까지 평화를 위한 노력으로 포장해서는 안 된다"며 "평화를 위해서는 북한의 입장을 살피는 것만큼 언론의 자유 등 우리 국민이 존중하는, 마땅히 우리 모두 지켜나가야 할 가치를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가 이래도 되는가. 이것이 정녕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역사상 지금처럼 언론의 자유가 구가 되는 시기는 없다`는 그 지금의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일인가"라고 혹평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도 통일부에 "냉전의식에서 못 벗어났다"고 지적했다.

하 최고위원은 지난 15일 SNS를 통해 "남북한 평화가 온다는 것은 누구나 남북한 방문에 제약이 있어선 안 된다는 것"이라며 "여전히 냉전의식에서 못 벗어나고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의 시대에 탈북자가 블랙리스트 1호가 된다면 진짜 평화가 아니다"라며 "한국도 월북자가 한국에 재방문하는 것을 불허해선 안되고, 북한도 탈북자가 가는 것을 금지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한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 같은 논란과 관련해 원만한 진행을 위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15일 판문점에서 진행된 고위급회담 종료 뒤 남북회담본부 브리핑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해 아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원만하게 고위급회담을 진행해서 평양공동선언 이행방안에 대해 합의를 도출하고 이행해나가야 하는 측면에서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유관부서와 상의는 했지만, 최종적 판단과 결정은 제가 내렸다"고 했다. `같은 상황이 오면 같은 결정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절차적으로 협의하는 그런 부분들은 보완이 필요하지만 똑같은 상황이라면 같은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그는 "회담을 위해 떠나기 임박해서 같이 가지 못한다는 통보를 하고 그런 식이었던 것은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사과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