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취약차주 부담완화 방안
(이슈타임)김혜리 기자=빠르면 내년 초부터 실업이나 질병 등 위기 상황에 놓인 대출자가 은행에 채무를 조정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채무조정 권한을 갖게 된다.
![]() |
<사진=이슈타임DB> |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정부는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시장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경제적 취약계층, 최저임금 인상으로 경영난을 우려하는 영세 자영업자에게 초점을 맞춘 지원책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9일 금융혁신 과제를 발표하면서 일부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우선 실업·질병 등으로 대출 상환이 곤란한 차주에 채무조정 요청권을 주기로 했다. 채무조정은 대출기한 연장, 이자 감면, 원금 일부 감면을 말한다. 금융회사가 채무조정 요청을 반드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런 권한을 명문화한다는 의미가 있다. 금감원은 올해 안으로 대출 약관에 관련 조항을 신설키로 했다.
금감원은 은행 자체 워크아웃 프로그램을 가동할 때 신용대출 원금 감면 대상을 기존 특수채권에서 일반채권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 경우 지금은 정상이지만 부실화 가능성이 있는 일반적인 대출채권(일반채권)이 원금 감면 대상에 들어가게 된다. 취약계층의 연체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 금감원은 올 하반기 중으로 카드가맹점 대금 지급주기를 기존 ‘결제일+2일’에서 ‘결제일+1일’로 하루 앞당길 방침이다. 영세 카드가맹점의 자금 순환이 빨라지도록 돕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 영세·중소 카드가맹점은 225만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연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은 204만곳, 3억∼5억원 이하 가맹점은 21만곳이다.
가맹점에서 신용카드를 반드시 받도록 하는 ‘의무수납제’는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의무수납제가 없어지면 영세 가맹점의 수수료 협상력을 높일 수 있다. 사실상 수수료 인하 효과를 얻게 된다. 다만 금융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어 소액결제에 한정한 의무수납제 폐지 등을 고려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과 TF 논의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면서 "다만 금리 인상기에 양극화 심화를 막는 차원에서라도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부담을 완화하는 노력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혜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국회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옥정호 녹조 현장·보건환경연구원 찾아… 환경...
프레스뉴스 / 25.09.11
연예
'마이 유스' 천우희, ‘국민 남매’ 상봉 앞두고 송중기에게 건넨 ...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5급·외교관후보자 2차시험 합격자 발표
프레스뉴스 / 25.09.11
사회
재외동포청, 카자흐스탄 재외동포 전담기구와 협력관계 구축
프레스뉴스 / 25.09.11
경제일반
통계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업무협약을 통한 인구감소지역 정책 지원 및 국제포럼 실시...
프레스뉴스 / 25.09.11
정치일반
“미래 먹거리 릴레이 건의” 김관영 전북도지사 장관급 방문현장 밀착 호소 총력
프레스뉴스 / 25.09.11
국회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문안위, 도민안전실 소관 2025년 2차 추가경정예산안 등 심사...
프레스뉴스 / 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