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 "미국이 새로운 북·미관계 취해주면 빠르게 취해갈 것"
(이슈타임)곽정일 기자=평양 남북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 중 하나였던 비핵화에 대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의 반응에 따라 구체적 조처를 할 의사를 밝히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
▲김정은 북한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백악관 SNS 갈무리> |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서울 을지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메인 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보고를 갖고 남북정상회담에 관해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은 전쟁이 끝나고 적대 관계를 종식하겠다는 정치적 선언"이라며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는 것이고, 평화협정은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지는 최종 단계에서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해 "김 위원장과 같이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북한이 취해나가야 할 조치들, 그 단계적 순서와 미국 측에서 취해야 할 상응 조치는 구체적으로 북·미간 협의가 돼야 할 내용"이라면서도 "북이 비핵화 조치들을 취해 나가면 그에 맞게 미국이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북의 안전을 보장하며 새로운 북·미관계 조치를 취해준다면 북도 비핵화 더 빠르게 취해나갈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종전선언에 대해서도 "올해 말까지가 목표"라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은 전쟁이 끝나고 적대 관계를 종식하겠다는 정치적 선언"이라며 "이번 방북을 통해서 저는 김정은 위원장도 제가 이야기 한 것과 똑같은 개념으로 종전 선언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한 "평화협정 체결 때까지 기존의 정전체제는 유지된다”며 “따라서 유엔사의 지위나 주한미군 주둔 필요성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안보 우려에 대해 대응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처럼 김 위원장 `완전한 비핵화`를 강조하면서 내민 `상응 조치`카드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떻게 내놓을지에 대한 응답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을 넘겨받은 트럼프 대통령의 선택과 결단에 따라 중대 전환점에 놓인 한반도 비핵화·평화 시계, 즉 `북미 빅딜`의 속도와 방향이 상당 부분 좌우될 전망이다. 당장 내주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기간 문재인 대통령을 통해 전해질 김 위원장의 추가 메시지와 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평가가 중대 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선 비핵화 태도를 고수하는 미국과 상응 조치를 요구하는 북한과의 견해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헤더 나워트 미 백악관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북한이 협조하면 상당히 (비핵화를) 빨리 마칠 수 있다"면서도 "비핵화가 없는 상태에서 어떠한 것도 이뤄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논의한 내용 가운데 합의문에 담지 않은 내용들도 있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제가 미국을 방문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다시 정상회담을 하게 되면, 미국 측에 상세한 내용을 전해줄 계획"이라고 설명하면서 비핵화와 관련해 추가적인 조건이 있음을 시사했다.
한미 정상회담은 오는 24일로 예정돼 있다. 이 회담에서 구체적 논의가 나오고 교착상태이던 북·미 관계가 다시 진전을 보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곽정일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제일반
순천시, 원도심 ‘애니메이션·웹툰 클러스터’ 제막…콘텐츠산업 도시로 도약
프레스뉴스 / 25.09.10
사회
괴산군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의 날‘ 맞아 생명존중 캠페인 펼처
프레스뉴스 / 25.09.10
사회
전주시, 생명나눔 희망의 씨앗 캠페인 전개 ‘생명을 이어주세요!’
프레스뉴스 / 25.09.10
문화
제주도, 서귀포의료원 정신과 입원병동 개설…26병상 규모 전문치료 시작
프레스뉴스 / 25.09.10
사회
옥천교육지원청, 학교운영위원회위원장협의회·학부모연합회와 소통간담회
프레스뉴스 / 25.09.10